성범죄 피의자가 직장에서 해고될 수 있을까

직장에서 성범죄 피의자가 발생하면 회사와 피해자 모두에게 큰 충격이 됩니다. 특히, 성범죄 혐의를 받는 직원에 대해 회사가 해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성범죄 피의자의 해고 가능성과 관련 법률, 그리고 실제 상황에서의 법적 대응 방법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성범죄 피의자가 직장에서 해고될 수 있는가?

직장에서 성범죄 혐의를 받는 직원에 대해 해고가 가능한지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법률적으로 보면, 회사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정당한 이유로 해고할 수 있습니다.

1. 해고의 정당한 사유란?

근로기준법 제23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할 때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성범죄 혐의가 회사 업무에 영향을 미치거나 신뢰를 크게 훼손한다면, 해고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2. 형사처분 전 ‘혐의’만으로 해고할 수 있나요?

혐의만으로 바로 해고하는 것은 신중해야 합니다. 혐의가 사실로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조건 해고하기 어렵고, 부당해고가 될 위험이 있습니다. 다만, 회사 내에서 피해자 보호나 업무 환경 유지가 어렵다면 ‘근무 배제’나 ‘직무 변경’ 등 임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3. 형사처분(유죄 판결) 후 해고 가능성

성범죄로 유죄 판결이 확정되면, 회사는 이를 ‘징계사유’로 삼아 해고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직무 수행과 관련된 범죄이거나 회사의 명예를 훼손하는 범죄라면 해고는 정당한 처분이 됩니다.


| 성범죄 피의자에 대한 해고 관련 법률

1. 근로기준법

  • 근로기준법 제23조는 해고 제한 및 정당한 사유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 부당해고 시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 성희롱이나 성범죄 관련 징계는 이 법에 따라 엄격히 처리됩니다.

  • 피해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도 규정되어 있습니다.

3. 형법 및 성폭력범죄처벌법

  • 성범죄가 사실로 입증되면 형법과 성폭력범죄처벌법에 따라 형사처벌됩니다.

  • 형사판결 확정 시 회사는 이에 근거해 징계 및 해고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상황에서 가능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성범죄 피의자와 관련된 법적 절차 및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해자의 형사고소

피해자는 경찰서 또는 검찰청에 성범죄 혐의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고소가 접수되면 수사가 진행되고, 증거가 확보되면 기소 여부가 결정됩니다.

2. 회사 내 징계절차

회사는 자체적으로 징계위원회를 열어 경고, 정직, 해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징계는 절차적 정당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부당해고 구제신청

피의자가 무혐의 처리되거나 혐의가 불충분할 경우, 해고가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어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이 가능합니다.

Next
Next

미성년자 상대 성범죄의 형량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