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싸움 아니에요” 교제 중 발생한 폭행·협박의 실제 형사처벌

연인 관계에서도 신뢰가 깨지는 순간, 그 안에서 발생하는 폭력이나 협박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문제가 됩니다. 특히 교제 중에 발생한 폭행이나 협박은 단순한 다툼이 아니라, 명백한 형사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오늘은 실제 교제 중 일어난 폭행·협박 사건이 어떤 법에 따라 어떻게 처벌되는지, 그리고 피해자나 피의자 모두가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교제 중 폭행·협박, 단순한 다툼이 아닌 형사 범죄입니다

1. 폭행과 협박은 각각 명확한 처벌 조항이 있습니다

  • 폭행죄(형법 제260조)
    폭행은 상대방의 신체에 물리적인 접촉이나 위해를 가하는 행위로, 폭행의 결과와 상관없이 처벌이 가능합니다.
    처벌 수위: 2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

  • 협박죄(형법 제283조)
    협박은 상대방에게 해를 가할 것이라는 위협만으로도 성립합니다. 실제로 해치지 않아도, 상대방이 위협을 느꼈다면 범죄가 됩니다.
    처벌 수위: 3년 이하의 징역,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폭행과 협박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각 죄가 병합되어 더 무겁게 처벌될 수 있습니다.

2. 연인 사이였다는 사실은 처벌 감경 사유가 아닙니다

“연인끼리 다툴 수도 있지 않나요?”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교제 중이라는 관계는 형사처벌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사안이 포함될 경우에는 처벌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 폭행 또는 상습성

  • 상대방의 신체나 정신에 큰 피해가 있는 경우

  • 이별 요구 이후 보복성 폭행·협박일 경우

3. ‘데이트 폭력’으로서 특수처벌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 데이트 폭력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인식되면서 경찰청에서도 중대범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경우에 따라 스토킹처벌법, 특수폭행죄, 강요죄, 강제추행죄 등으로 확대 수사되며,

  • 상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해죄(형법 제257조)로, 흉기나 위험한 물건이 사용된 경우 특수폭행죄(형법 제261조)로 가중처벌될 수 있습니다.

| 폭행·협박이 실제로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1. 피해자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이 가능합니다

  • 형사 고소: 경찰서에 직접 고소장을 제출하거나, 112에 신고하면 수사가 진행됩니다.

  • 스토킹처벌법 적용 요청: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협박·위협이 있었다면, 스토킹처벌법을 통해 더 강력한 처벌이 가능해집니다.

  • 접근금지 신청: 데이트폭력의 피해를 막기 위한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도 가능합니다.

  • 의료·상담 기록 확보: 폭행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피해는 진단서나 상담기록 등으로 입증할 수 있도록 준비하셔야 합니다.

2. 피의자 입장이라면, 다음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합의 여부는 중요하나 처벌 회피 수단은 아님
    피해자와 합의할 경우 처벌 수위는 낮아질 수 있지만, 피해자가 처벌을 원한다면 합의만으로도 형을 면할 수는 없습니다.

  • 무고나 사실과 다른 진술일 경우에는 무고죄 주장 가능
    상대방의 고소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거짓 진술로 인해 수사를 받게 되었다면 무고죄(형법 제156조)로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 연인 사이 폭행·협박, 처벌은 피할 수 없습니다

교제 중 폭행이나 협박은 단순한 다툼이 아닌 ‘형법상 범죄’입니다. 관계의 친밀함이 처벌을 면하게 해주는 것은 아니며, 법원은 관계보다 행위의 위법성과 반복성을 더 중하게 봅니다. 실제 피해가 발생한 경우, 피해자는 법적으로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으며, 피의자 입장에서도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Previous
Previous

청소년과 성관계, 동의했어도 처벌됩니다 – 놓치기 쉬운 법률 포인트

Next
Next

성범죄 고소를 취하하면 처벌 안 받을까? 성범죄 관련 최신 법률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