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대응법: 피해자가 꼭 알아야 할 법적 조치
스마트폰, 앱, 웹사이트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름, 연락처, 주민번호 등 사생활의 핵심 정보가 무단으로 공개되면 금전적 손해는 물론 정신적 피해도 큽니다. 이럴 때,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형사고소 절차와 민사 배상 청구 방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개인정보 유출 시 어떤 법률이 적용되나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 제공, 공개하는 행위는 최대 7년 이하 징역 또는 7,0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민감정보나 고유식별정보의 경우 더 엄격하게 적용됩니다)형법상 범죄
업무상 횡령죄 (형법 제355조): 개인정보를 무단 활용하거나 빼돌린 경우 적용 가능
사기죄 (형법 제347조): 개인정보로 피해자를 속여 재산상 이득을 취한 경우
민법상 손해배상청구권
개인정보 침해로 인해 금전 손해나 정신적 피해가 발생했다면,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민법 제750조)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피해자로서 형사고소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경찰 또는 검찰에 고소장 제출
개인정보 유출 경위, 피해 내용, 관련 증거(스크린샷, 통화기록, 유출 확인 통지 등)을 첨부해 형사 고소장을 작성합니다.
수사 및 조사
경찰은 수사를 시행하고, 유출 책임자(기업 담당자나 해킹한 개인 등)를 조사합니다.
필요 시 디지털 포렌식, 서버 로그 분석 등이 동원됩니다.
검찰 송치 및 기소 결정
수사 후, 검찰이 기소 여부를 판단합니다. 기소 시 형사재판이 개시되고 피해자는 피해자 조사 및 의견 제출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재판 및 형벌 선고
유죄 판결 시 징역, 벌금, 집행유예 등 형벌이 내려집니다.
기업이나 개인은 피해회복을 위해 민사소송 동시 진행도 가능합니다.
|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민사 손해배상 청구 방법
손해 내역과 증거 정리
금전적 손해(사기 피해, 사설 사이트 피해 등)와 정신적 고통(위자료)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관련 증거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내용증명 발송
가해자 또는 유출 주체에게 정식 내용증명을 보내 개인정보 삭제, 손해배상 및 재발 방지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소송 제기 단계
요청에 응하지 않으면 민사소송 또는 소액사건심판청구를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판결이 나면 지급명령 및 강제집행 절차를 통해 실제 배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어떤 경우에 형사·민사 고소가 가능할까요?
기업이 동의 없이 고객 정보를 제3자에 제공하거나 노출한 경우 →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형사 처벌과 행정제재 대상입니다
직원이 단순 실수를 핑계로 개인정보를 유출한 경우라도, 안전조치 위반 시 과태료, 과징금뿐 아니라 형사책임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로 직접 금전적 사기를 치거나 피해자를 속였다면, 사기죄 및 불법행위 책임으로 형사와 민사 모두 고소 및 배상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