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허위사실 유포 시 명예훼손 고소 가능성
요즘 SNS에서 빠르게 퍼지는 글이나 게시물 중에는 사실이 아닌 정보가 섞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특정인을 겨냥한 허위사실은 단순한 소문을 넘어 명예훼손이라는 범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NS에서 허위사실을 유포했을 때 실제로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할 수 있는지,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에 대해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SNS에서 허위사실 유포, 단순한 말이 아닌 범죄입니다
SNS는 빠르고 광범위하게 정보가 퍼질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하지만 이 공간에서 사실과 다른 내용을 게시하거나 공유하면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 허위사실 유포란 무엇인가요?
허위사실 유포란, 사실이 아닌 내용을 만들어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거나 인터넷상에 퍼뜨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특히 그 내용이 특정인의 평판을 떨어뜨릴 의도로 쓰였다면, '명예훼손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명예훼손은 어떤 법으로 다뤄지나요?
대한민국에서는 형법과 정보통신망법 두 가지 법률에서 명예훼손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형법 제307조(명예훼손죄)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
정보통신망(예: SNS, 블로그 등)을 통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사실일 경우에도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허위사실일 경우에는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형까지 가능합니다.
이처럼 허위사실을 퍼뜨린 내용이 온라인상에 게시되었는지, 사실인지 아닌지, 그리고 피해자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뜨렸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3. 꼭 실명을 언급해야 고소되나요?
꼭 실명을 명시하지 않더라도, 누군지 특정할 수 있는 표현이 있다면 명예훼손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대리 ○씨" 같은 표현도 대상이 될 수 있고, 사진, 별명, 상황 묘사 등을 통해 특정인이 유추된다면 충분히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허위사실로 인한 피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허위사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우, 형사 고소 외에도 민사 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1. 법적 대응 방법
형사 고소
고의적으로 허위사실을 퍼뜨려 명예를 훼손한 사람에게는 형법 또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형사처벌이 이루어집니다.민사 소송
명예훼손으로 인해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피해 사실과 관련된 증거(캡처, 대화 기록 등)를 잘 정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고소가 가능한 조건은?
허위사실이어야 하며
특정인을 지목하거나 특정 가능해야 하며
명예훼손의 의도가 드러나야 하고
정보통신망(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유포되었을 경우 가중처벌 가능
고소가 가능하려면 이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며, 실제로 많은 사건이 이 요건에 따라 성립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