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범죄 고소 시 공소시효는 얼마나 되나?

성범죄 피해를 입었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이 바로 공소시효입니다.
공소시효가 지나면 형사 처벌이 어렵기 때문에, 피해자는 신속하게 법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범죄 공소시효의 법적 기준, 종류, 그리고 고소 후 대응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 1. 성범죄 공소시효 기본 법적 근거

성범죄의 공소시효는 형법 및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범죄 종류와 피해자 연령, 범행 방식에 따라 공소시효가 달라집니다.

1. 범죄 유형별 공소시효

  • 강간, 강제추행 등 일반 성폭력 범죄: 공소시효 10년

  •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피해자가 성년이 된 날부터 공소시효 시작

  • 반복적·중대한 범죄: 공소시효 연장 가능

2. 공소시효 계산 기준

  • 범죄가 종료된 날 또는 범행을 인식한 날부터 계산

  • 피해자가 범죄 사실을 알게 된 경우에는 ‘발견 시점’ 기준으로 공소시효가 새로 시작



| 2. 공소시효와 고소 절차

1. 신속한 신고 필요성

  • 공소시효가 얼마 남지 않았거나 이미 시작된 경우, 즉시 112 또는 경찰서 고소

  • 증거 확보가 늦어질수록 수사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음

2. 고소 후 절차

  • 경찰 수사 → 검찰 송치 → 기소 여부 결정 → 법원 심리

  • 고소 시점부터 공소시효가 중단되거나 정지되는 경우가 있어, 신고 후 바로 수사 착수가 중요

3. 피해자 보호

  • 2차 피해 방지, 접근금지, 임시 보호시설 이용 가능

  • 상담·심리치료 지원 등 법적·심리적 지원 활용



| 3. 성범죄 고소 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1. 형사 처벌: 강간, 강제추행, 성폭력범죄 특례법 위반 등

  2. 민사 손해배상 청구: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 가능

  3. 범죄 예방 조치: 접근금지, 신변 보호, 임시 보호 시설 요청 가능

결론적으로 성범죄 공소시효는 범죄 유형, 피해자 나이, 범행 인식 시점에 따라 달라집니다.
피해자가 법적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신속한 고소와 증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공소시효 내라면 적극적으로 형사 및 민사상 조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성범죄 사건에서 CCTV 부재 시 대응 방법

Next
Next

초범 성범죄자에 대한 처벌과 선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