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권 없는 부모가 자녀 학교 행정(전학, 병원 진료 등)에 개입하려 할 때 대응법은?
혼인 중에는 부모라면 누구나 자녀 교육, 의료, 전학 등의 중요한 결정을 할 수 있지만, 이혼이나 별거 후 친권이 없는 부모는 이러한 결정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권이 없는 부모가 자녀의 전학 신청, 병원 진료 동의, 학교 서류 제출 등에 관여하려 한다면, 자녀의 법적 보호권(친권 기준)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친권과 양육권, 무엇이 다를까요?
친권은 자녀의 법정 대리인으로서 자녀의 법률상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예컨대, 전학 결정, 의료 동의, 여권 신청, 재산 관리 등을 포함합니다.
양육권은 실제로 자녀를 돌보고 가정 내에서 양육하는 책임과 권한입니다.
이혼 후 친권과 양육권은 동일인에게 주어질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습니다.
즉, 친권 없는 부모는 학교 행정이나 의료 결정에 법률상 권한이 없으며 무단 개입은 권한 침해로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무단 개입 시 대응 방법
1. 학교나 병원에 법적 권한 여부 확인 요청
학교 행정실 또는 병원에 면담 요청하여, 상대 부모의 친권 여부 확인을 요청하세요.
친권이 없는 경우, 해당 부모의 서류 제출이나 동의는 법적 효력이 없다는 점을 문서로 남기면 안전합니다.
2. 친권 행사가 필요한 경우 법원에 친권 변경 신청
자녀의 삶에 부정적 영향이 있다면, 가정법원에 친권 행사 신청이나 친권 변경 청구가 가능합니다 .
법원은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판단해 친권자 지정 혹은 변경을 결정합니다
3. 불법 개입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
친권이 없음에도 허위 서류 제출, 동의 여부 속임, 채무 부담 요구 등을 한 경우,
→ 사의적으로 권한 범위를 넘어선 개입이라면 사문서 위조죄·업무방해죄 등의 문제 될 수 있습니다.특히 친권 없는 부모가 학교에 개입해 의도적으로 자녀 보호 환경을 해치는 경우,
→ 가정법원이 직권 또는 친권 정지·박탈 조치를 내릴 수도 있습니다 .
| 교차권 침해 시 가능한 형사·민사 대응
사문서 위조 및 행사죄: 친권이 없으면서 동의서, 위임장 등을 위조하거나 조작한 경우 (형법 제231조·234조),
→ 5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형 처벌 대상이 됩니다.업무방해죄: 허위 서류로 학교 행정 절차를 방해했다면 형사 고소 가능 (형법 제314조).
민사 손해배상청구: 자녀의 학습권·건강권 침해 등 피해가 인정되면 위자료 및 정신적 피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