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시설 파손 책임 문제

공용시설은 아파트 단지, 학교, 공원, 공공기관 등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시설이 파손될 경우, 누가 책임을 지고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공용시설 파손 시 책임 소재, 관련 법률, 법적 대응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1. 공용시설 파손과 책임의 기본 원칙

1) 공용시설 파손이란?

공용시설 파손이란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이 의도적 또는 과실로 손상된 상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놀이터 기구 파손, 공원 벤치 훼손, 학교 책걸상 파손 등이 포함됩니다.

2) 책임의 기본 원칙

  • 고의·과실 책임: 시설을 고의로 파손하거나 부주의로 손상시킨 경우, 가해자는 민사상 배상 책임을 집니다.

  • 관리 책임: 관리 주체(아파트 관리사무소, 학교, 공원 관리청 등)는 시설 점검과 안전관리 의무가 있습니다. 관리 부주의로 인한 사고 시 일부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관련 법률

1) 민법

  • 제750조(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타인의 권리나 재산을 침해하면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 파손 행위가 고의 또는 과실일 경우, 민사적으로 원상복구 또는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2) 형법

  • 제366조(재물손괴죄): 타인의 재물을 손괴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 고의로 공용시설을 파손한 경우,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공동주택관리법

  •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공용시설 파손 시 입주민에게 손해배상 청구 가능

  • 관리주체는 사고 조사 후 가해자에게 배상 요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3. 파손 책임의 구체적 처리 방법

1) 사고 발생 즉시 신고

  • 아파트: 관리사무소 또는 경비실

  • 공공시설: 담당 부서(공원관리청, 시청 등)

  • 학교: 교사 또는 시설 담당자

2) 손해 조사

  • 피해 범위 확인

  • 파손 원인 조사(고의·과실 여부, 관리 부주의 등)

  • 필요 시 CCTV, 목격자 진술 확보

3) 배상 및 수리

  • 원상복구 가능 여부 확인

  • 원상복구가 불가능할 경우 금액 산정 후 손해배상 청구

  • 관리주체는 가해자와 협의 후 민사적 해결

온라인 커뮤니티



| 4. 공용시설 파손과 법적 대응

1) 적용 가능한 범죄

  • 재물손괴죄: 고의로 시설을 파손한 경우

  • 업무방해죄: 관리자의 관리 권한을 방해하며 시설을 훼손한 경우

  • 형사 고소 가능: 고의 파손 시 경찰에 고소 가능

2) 민사적 대응

  • 파손에 따른 수리 비용 또는 가치 손실 배상 청구

  • 관리주체 또는 피해자는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 가능

3) 행정적 대응

  • 공동주택이나 공공시설에서 반복적 파손 발생 시 관리 규정에 따른 제재 가능

  • 시설 이용 제한, 벌금 또는 과태료 부과 등

Next
Next

도로 주차 분쟁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