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촬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여부

요즘 유튜브나 SNS에서 멋진 드론 촬영 영상을 자주 보셨을 텐데요. 탁 트인 풍경이나 도시의 전경을 담을 수 있어서 참 매력적인 촬영 방식이죠. 하지만 드론이 개인의 집이나 사적인 공간을 무단으로 촬영한다면, 단순한 영상이 아니라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드론 촬영이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는지, 어떤 법률이 적용되는지, 그리고 문제가 생겼을 때 가능한 법적 대응 방법까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드론 촬영, 무조건 불법은 아니지만…

드론 촬영 자체는 불법이 아닙니다. 다만 촬영 대상과 방식에 따라 불법이 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거지나 개인이 인식될 수 있는 공간을 무단으로 촬영하거나, 동의를 받지 않고 타인의 모습을 촬영했다면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드론이 촬영하는 대상이 단순 건물이 아닌 사람의 모습이나 일상적인 사적 활동이라면, 이는 법적인 문제가 될 수 있어요.



| 사생활 침해에 적용되는 주요 법률은 무엇인가요?

1. 헌법 제17조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우리나라 헌법은 국민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제17조에서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드론이 이 사적인 공간을 침해할 경우, 헌법상 권리를 침해당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보호법

드론을 이용해 특정 인물의 얼굴, 차량 번호, 주소 등 개인 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촬영하고 저장한 경우에는, 개인정보 수집으로 간주되어 「개인정보보호법」이 적용됩니다. 이때 사전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유포하면 불법이 됩니다.

3. 형법 제316조 – 비밀침해죄

개인이 드론을 통해 남의 사생활을 몰래 촬영했다면, 이는 형법 제316조에 따른 비밀침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타인의 사적인 영역을 비밀리에 촬영하거나 녹음했을 때 적용되는 조항입니다.

4.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드론으로 타인의 신체 일부를 몰래 촬영한 경우(예: 주거지 창문을 통해 내부를 촬영), 이는 단순 사생활 침해를 넘어 불법촬영죄(카메라등 이용 촬영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이 법은 성적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촬영에 대해 매우 강력하게 처벌합니다.



| 드론 촬영 사생활 침해로 인정되는 대표 사례들

1. 주거지 창문 안쪽을 촬영한 경우

거실, 욕실, 침실 등 사적 공간을 드론이 창문 너머로 촬영한 경우는 명백한 사생활 침해입니다. 아무리 외부 공간이라 하더라도 사생활이 보장되어야 할 장소를 촬영하는 건 위법입니다.

2. 옥상, 마당, 개인 수영장 등 사적 외부 공간 촬영

외부 공간이라도, 타인이 사적인 활동을 하는 공간(예: 수영, 햇볕 쬐기 등)을 무단 촬영했다면 마찬가지로 사생활 침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특정 인물 중심으로 근접 촬영

군중이 아닌 특정 인물만을 따라가며 촬영하거나, 근접해서 얼굴이나 신체 일부를 담았다면 이는 단순한 배경 촬영이 아닌, 동의 없는 인물 촬영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그렇다면, 드론 촬영으로 피해를 입었을 때 어떻게 대응하나요?

1. 즉시 증거 확보

드론의 비행 시간, 촬영 방향, 영상 또는 사진 등 가능한 모든 증거를 확보하세요. 드론 번호나 운영자의 신원, 드론 촬영 장면 등이 있으면 좋습니다.

2. 경찰에 신고

사생활 침해, 불법촬영이 의심될 경우 즉시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세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3. 민사소송 제기 가능

정신적 피해나 명예훼손이 인정된다면, 손해배상 청구(민사소송)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증거자료와 함께 피해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법적 대응 – 드론으로 사생활 침해 시 가능한 죄목은?

실제로 드론 촬영이 사생활 침해로 인정될 경우, 다음과 같은 형사 처벌 조항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형법 제316조 (비밀침해죄)

타인의 비밀이나 사생활을 몰래 촬영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

상대방의 동의 없이 신체를 촬영한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영상 유포 시 가중처벌 됩니다.

3.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개인의 얼굴, 차량번호 등 식별 가능한 정보를 동의 없이 수집·촬영·보관·유포한 경우 행정처분 및 형사처벌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SNS로 퍼진 루머에 대한 대응 방법

Next
Next

숙소 위생 불량에 따른 환불 요구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