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쇼핑몰 환불 거절 시 소비자 권리

온라인 쇼핑이 일상이 된 요즘, 상품을 받고 나서 환불을 요청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환불을 요청했는데 쇼핑몰에서 거절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실 텐데요.
환불 거절이 꼭 정당한 것인지, 소비자로서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인터넷 쇼핑몰 환불 거절 시 소비자 권리와 관련 법률, 그리고 법적 대응 방법까지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인터넷 쇼핑몰 환불, 어떤 경우에 가능한가요?

1. 전자상거래법과 소비자 보호법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소비자는 제품을 받거나 계약을 체결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청약철회는 쉽게 말해 ‘구매를 취소하고 환불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단,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 맞춤 제작 상품, 복제가 가능한 CD/DVD, 다운로드 받은 디지털 콘텐츠 등

  • 시간 경과에 따라 재판매가 어려운 상품

이 경우에는 환불이 거절될 수 있지만, 판매자가 이를 사전에 고지했어야 합니다.


| 환불 거절 시 소비자가 할 수 있는 대응 방법

1. 먼저 계약서 및 환불 정책 확인하기

상품 주문 시 제공된 환불 정책이나 계약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정당한 사유 없이 환불을 거절한다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소비자 분쟁 해결 기관에 신고하기

한국소비자원, 지방자치단체 소비자 보호센터 등에 피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이 기관들은 중재나 조정을 통해 분쟁 해결을 도와줍니다.

3. 전자상거래 분쟁조정 신청

전자상거래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무료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중립적인 분쟁 해결 절차를 지원합니다.


| 인터넷 쇼핑몰 환불 관련 주요 법률

1.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전자상거래법)

소비자는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청약철회 가능하며, 사업자는 소비자가 청약철회 의사를 밝히면 즉시 환불해야 합니다.

2. 소비자기본법

소비자의 권리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사업자의 부당 행위에 대해 피해 구제 조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 환불 거절 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환불을 거절당했지만, 소비자가 정당한 사유로 환불 요청을 했다면 사업자의 거절은 부당한 행위입니다.
이 경우,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부과가 가능하며, 소비자는 민사적으로 환불 청구 소송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만약 환불 거절 과정에서 허위 광고, 기망 행위가 있었다면 ‘사기죄’에 해당할 수 있어 형사 고소도 가능합니다.

Previous
Previous

지하철 성추행 허위 신고로 억울하게 신고당했을 때

Next
Next

중고거래 사기 당했을 때 법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