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외주 계약 후 성과 미흡에 따른 분쟁 사례

기업 간 거래(B2B)에서 외주를 맡기는 일은 흔하게 이루어지는 업무 방식입니다. 하지만 외주 계약을 체결한 후 결과물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금전 문제와 함께 신뢰관계에 금이 가면서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2B 외주 계약에서 성과 미흡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쟁 유형과 그에 따른 법적 책임, 그리고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나 계약 해지 가능성 등 실질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B2B 외주 계약,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나요?

B2B 외주 계약은 보통 용역계약 또는 도급계약 형태로 체결됩니다. 이 두 계약 유형에 따라 법적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계약 체결 시부터 정확한 명시가 필요합니다.

1. 용역계약

  • 특정 업무 수행을 외부 업체에 맡기고 성과물뿐 아니라 수행 과정 전체에 대한 주의 의무를 포함하는 계약

  • 예: 컨설팅, 마케팅 운영, 소셜미디어 관리 등

2. 도급계약

  • 발주자는 결과물(완성물)을 받는 것이 목적이며, 그 결과물의 완성과 인도에 대해 책임을 묻는 계약

  • 예: 웹사이트 개발, 광고 영상 제작, 제품 디자인 등



| 외주 성과 미흡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쟁 유형

성과가 미흡하거나, 의뢰한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다양한 법적 다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계약 불이행 또는 불완전 이행

  • 정해진 납기일을 넘기거나,

  • 계약서상 명시된 품질·기능이 빠져 있는 경우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 불이행으로 간주되어 손해배상 책임 발생

2. 성과가 주관적 기준에 따라 미흡한 경우

  • 결과물 자체는 납품되었지만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 효과(성과)가 명확히 보이지 않는 경우
    → 계약 내용에 정량적 기준(성과 지표 등)이 없었다면 손해배상 인정이 어려움

3. 계약 해지와 비용 반환 요구

  • 결과물이 미흡하거나 위반사항이 명백할 경우
    계약 해지 및 이미 지급한 비용 환수 요구 가능



| 법적 대응 방법 – 민사소송 중심으로

계약 위반이나 성과 미흡에 따른 손해가 발생한 경우,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 청구 또는 대금 지급 거절이 가능합니다.

1. 손해배상 청구 소송

  • 계약을 위반한 외주 업체에게 발생한 손해를 금전적으로 청구

  • 성과 미흡으로 인해 광고비 낭비, 고객 유입 실패, 브랜드 이미지 손상 등이 있었다면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함

2. 계약 해지 및 대금 반환 소송

  • 계약상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
    → 계약을 해지하고 이미 지급한 대금에 대해 반환 청구 가능

  • 단, 성과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송에서 불리할 수 있음

3. 채무불이행 가처분 신청 (긴급한 경우)

  • 계약이행 중단 또는 손해 확산을 막기 위해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통해 외주업체의 업무 중지, 자산 보호 등 조치 가능



| 증거자료가 핵심입니다 – 분쟁 대비 체크리스트

B2B 외주 분쟁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계약서와 관련 자료의 명확성입니다.

1. 명확한 계약서 작성

  • 납품일, 품질 기준, 성과지표(KPI), 대금 지급 조건 등

  • 불이행 시 손해배상 및 해지 가능 조항 포함 여부

2. 의사소통 기록 보존

  • 이메일, 카카오톡, 회의록 등 업무 진행 중 있었던 대화와 합의 내용

  • 분쟁 발생 시 의뢰인의 요구사항과 업체의 대응 태도 증거로 사용

3. 납품 결과물 및 테스트 자료 확보

  • 결과물 파일, 테스트 리포트, 사용자의 반응 등

  • 성과 미흡의 구체적 근거로 제출 가능



| 성과 미흡이 형사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일반적인 외주 계약 분쟁은 민사적 분쟁에 해당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형사처벌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1. 사기죄 (형법 제347조)

  • 외주업체가 처음부터 성과 제공 의사 없이 대금을 받아간 경우,

  • 또는 허위 자료, 허위 경력 등으로 계약을 체결했다면
    기망행위로 사기죄 성립 가능

2. 업무상 배임죄 (형법 제355조)

  • 외주 업체가 의뢰한 대로 결과물을 만들지 않고, 타인에게 재하청하거나

  • 비용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 업무상 배임죄로 형사고소 가능

이러한 경우엔 민사소송과 형사 고소를 병행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기업 간 공동사업 아이디어 도용 사례

Next
Next

공동사업자 간 정산 분쟁, 민사소송 절차와 준비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