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 업체의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 대응
하도급 거래에서 납품단가 인하는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특히 원청업체가 일방적으로 단가를 낮추려 할 때, 법적 대응이나 협상 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도급 거래에서 부당한 납품단가 인하가 발생했을 때, 법적 근거와 현실적인 대응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하도급 단가 인하 관련 법적 근거
하도급 거래에서 납품단가 인하 문제는 주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하도급법)과 민법상 계약 원칙에 근거합니다.
하도급법 제3조(불공정행위 금지)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정당한 사유 없이 단가를 일방적으로 인하하는 행위 금지
부당 단가 인하, 지연 대금 지급, 부당 요구 등 포함
민법상 계약 원칙
계약의 일방적 변경 금지
이미 체결한 단가는 합의 없이 낮출 수 없음
즉, 원청이 단가 인하를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와 상호 합의가 있어야 하며, 무리한 단가 인하는 법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부당 단가 인하 사례
1. 계약 후 단가 일방 인하
계약서상 단가가 명시되어 있음에도 원청이 생산비 상승, 시장 상황 등을 이유로 일방 인하 요구
하도급법 위반 소지가 있음
2. 납품 조건 변경과 연계한 단가 인하
납기 단축, 품질 요구 강화 등을 이유로 단가를 낮추려는 행위
정당한 협상 범위를 넘어 부당행위로 판단 가능
3. 반복적 단가 인하 압박
수급사업자가 거절하면 거래 배제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
하도급법상 불공정 행위
온라인 커뮤니티
| 대응 방법
계약서와 거래 내역 확인
단가, 납품 조건, 변경 가능 여부 등 문서 증거 확보
협상 시 근거 제시
생산 원가, 시장 상황 자료 등으로 정당성 입증
단가 인하가 부당함을 문서로 요청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하도급법 위반 혐의로 부당 단가 인하 신고 가능
증거 자료, 계약서, 서면 요청 내역 등 제출
법적 조치
민사 소송: 계약 조건 유지 및 손해배상 청구
형사 고소: 단가 인하 요구가 협박·강요성이 있다면 가능
| 정리하며
하도급 거래에서 원청의 부당한 단가 인하는 법적 문제 소지가 큰 행위입니다.
대응은 계약서 검토 → 증거 확보 → 협상 → 신고 및 소송 순으로 접근하며, 상황에 따라 하도급법 위반 신고, 민사 손해배상 청구, 협박·강요 관련 형사 고소까지 가능합니다.
항상 계약 조건과 증거 자료를 꼼꼼히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