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주가 본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하는 경우

프랜차이즈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본사의 잘못된 운영이나 지시에 의해 가맹점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가맹점주는 본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를 고려할 수 있으며, 법적 근거와 절차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맹점주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상황, 관련 법률, 청구 절차와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법적 대응까지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가맹점주가 본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경우

가맹점주는 본사의 불공정한 행위나 계약 위반으로 인해 실질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1. 대표적인 사례

  • 본사가 약속한 광고·판촉 지원을 제공하지 않아 매출 감소

  • 원재료 공급 지연이나 과다한 수수료 요구로 인한 피해

  • 본사의 잘못된 경영 방침이나 불공정 계약으로 인한 손실

2. 관련 법적 근거

  • 가맹사업법: 가맹본부의 불공정 거래행위를 규제

  • 민법상 계약불이행 책임: 계약상 의무 위반 시 손해배상 청구 가능

  • 필요 시 공정거래법 적용 가능


| 손해배상 청구 시 고려할 사항

가맹점주가 본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려면, 몇 가지 핵심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1. 손해 발생 증거 확보

  • 매출 자료, 계약서, 통신·문서 기록 등 피해와 관련된 증거

  • 광고 지원 미이행, 공급 지연 등 본사의 과실 입증

2. 손해 범위 산정

  • 실제 금전적 손해 및 영업 손실 포함

  • 장래 수익 감소까지 포함될 수 있으나, 합리적 범위 내에서 산정

3. 법적 청구 방법

  • 민사 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청구

  • 합의나 조정을 통해 분쟁 해결 가능


| 본사 상대 손해배상 청구 시 법적 대응 가능성

1. 민사적 대응

  • 손해 발생 사실과 본사의 과실을 입증하면 금전적 배상 청구 가능

  • 필요 시 가압류 신청으로 재산 보호 가능

2. 행정적 대응

  •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가능: 불공정거래행위 조사 요청

  • 법적 제재로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가능

3. 형사적 대응

  • 본사의 행위가 사기, 배임, 횡령 등 형사 범죄에 해당하면 고소 가능

  • 다만 단순 계약 위반만으로는 형사 책임 성립이 어렵고, 민사 손해배상이 일반적

Previous
Previous

부당한 광고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

Next
Next

기업 간 합작계약(JV)에서 발생하는 분쟁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