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광고 및 과장 광고 관련 법적 대응
현대 사회에서는 소비자들이 광고에 노출되는 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SNS 마케팅, 유튜브 광고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면서, 광고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업자들이 소비자를 현혹시키기 위해 허위 광고나 과장 광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허위·과장 광고가 무엇이고, 이에 대해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허위 광고와 과장 광고의 차이와 법적 기준
1. 허위 광고란 무엇인가요?
허위 광고는 사실이 아닌 내용을 소비자에게 진실처럼 전달해 오인하게 만드는 행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 효과가 없는 제품을 ‘특허받은 효과 입증 제품’이라고 광고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2. 과장 광고란 어떤 경우인가요?
과장 광고는 어느 정도 사실이긴 하지만 현저히 부풀려 표현하여 소비자에게 오해를 유발하는 광고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다이어트 보조제를 “하루 3kg 감량 보장”이라고 표현하는 식입니다.
3. 광고 관련 법적 기준
허위·과장 광고는 다음 법률에 따라 처벌 또는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표시광고법)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형법 제314조(업무방해), 제347조(사기죄) 등
| 허위·과장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법적 대응 방법
1. 공정거래위원회 또는 관할 지자체에 신고
광고가 명백히 허위이거나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경우 공정위, 한국소비자원, 시·군·구청 등에 민원 제기 및 신고가 가능합니다.
증빙 자료(광고 캡처, 거래 내역, 피해 입증 자료)를 첨부하면 조사와 조치가 수월합니다.
2. 한국소비자원에 피해구제 신청
일정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소비자원에서 피해구제 신청이 가능하며, 조정 절차를 통해 환불이나 보상도 받을 수 있습니다.
3.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허위 광고로 인한 재산적 손해가 있을 경우, 민사소송을 제기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예: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 화장품 광고로 인해 병원 치료를 받았을 경우 치료비 및 위자료 청구
온라인 커뮤니티
| 허위 광고를 한 사업자가 받을 수 있는 처벌
1. 표시광고법 위반
행정처분: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형사처벌: 2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
2. 전자상거래법 위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의 허위 광고는 판매 중지, 영업정지 등의 처분이 가능
3. 형법상 사기죄 성립 가능성
고의로 속여서 금전적인 이익을 취한 경우, 사기죄로 형사고소 가능
사기죄가 인정되면 최대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 허위·과장 광고는 명백한 불법행위입니다
사업자가 사실이 아닌 정보로 소비자를 유인하거나, 소비자가 오해하도록 광고를 한 경우 이는 단순한 마케팅 전략이 아니라 위법 행위에 해당됩니다. 소비자는 단순히 ‘속았다’고 넘어가기보다는, 공정위 신고, 소비자원 피해구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형사고소 등 다양한 법적 절차를 통해 적극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