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경력이나 자격으로 계약한 경우 사기죄 적용 가능 여부

최근 들어 기업 간 계약이나 프리랜서 외주 계약 등에서 경력이나 자격 사항을 위조하거나 과장해 계약을 따낸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단순한 계약상의 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형사처벌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허위 경력 또는 자격을 근거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사기죄가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법적으로 어떤 대응과 처벌이 가능한지까지 실제 법률 조항을 기준으로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허위 경력·자격으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단순한 민사 문제가 아닙니다

계약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상대방이 제시한 능력·자격의 진실성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의도적으로 허위로 기재하거나 속이면서 계약을 유도했다면, 단순한 계약 분쟁을 넘어서 **형사처벌 대상인 ‘사기죄’**가 될 수 있습니다.

1. 사기죄(형법 제347조)

  • 타인을 기망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한 경우 성립합니다.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즉, 허위의 경력이나 자격을 내세워 계약을 체결하고 금전(계약금, 용역비 등)을 수령한 경우
상대방을 속여 재산상 이득을 취한 사기행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허위 경력으로 계약한 경우 실제 사기죄가 인정되려면?

실제로 사기죄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다음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상대방을 속이기 위한 ‘기망행위’가 있었는가?

  • 존재하지 않는 자격증을 소지한 것처럼 위조하거나

  • 실제 경력보다 지나치게 부풀려 계약을 유도했다면
    → 기망행위 성립

2. 그 기망으로 인해 상대방이 계약을 체결했는가?

  • 허위 정보가 아니었다면 계약을 맺지 않았을 것이 명확할 경우
    → 기망에 의해 계약 체결 → 인과관계 성립

3. 상대방이 금전 등의 재산상 손해를 입었는가?

  • 용역비를 지급했는데, 실제로 계약 수준의 업무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 재산상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사기죄 적용 가능


| 민사책임도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위 경력이나 자격으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형사처벌뿐 아니라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도 가능합니다.

1. 계약 해지 및 계약금 환수 청구

  • 민법상 사기 등 불법행위로 계약이 체결되었을 경우
    계약 무효 또는 해지 가능

2. 손해배상 청구 (민법 제750조)

  • 계약금, 용역비, 결과물 미흡으로 인한 2차 피해 등
    → 실제 입은 금전적 피해 전반에 대해 청구 가능

3. 위자료 청구도 가능할 수 있음

  • 사기가 입증될 경우, 신뢰를 저버린 정신적 피해에 대해 위자료도 일부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실제 고소와 법적 대응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1. 경찰 또는 검찰에 사기죄로 고소

  • 고소장에 허위 경력 관련 증거자료, 계약서, 입금 내역 등을 첨부

  • 상대방의 고의성이 명확하다면 형사처벌이 실제로 가능합니다

2. 민사소송 병행 진행

  • 계약금 환수 및 손해배상 청구를 위한 민사소송 병행 가능

  • 형사사건 결과가 민사소송에도 유리한 증거자료로 작용

3. 입증자료는 반드시 확보

  • 이력서, 포트폴리오, 대화 내용(메일·카카오톡 등), 실제 작업물
    → 사기 여부 판단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Previous
Previous

거짓 상속 사기 피해, 신고 절차와 입증자료

Next
Next

허위 구인광고로 인한 금전 피해, 처벌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