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내 성폭력과 이혼 소송의 연계

가정이라는 울타리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평온해야 할 공간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성폭력은 매우 민감하고 심각한 문제입니다. 특히 배우자나 동거인 등 가까운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적 폭력은 외부에 드러나기 어렵고, 피해자는 그로 인해 더 깊은 고통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가정 내 성폭력이 발생했을 경우, 단순히 형사 문제로 끝나지 않고 이혼 소송과도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법률적 대응이 가능한지, 이혼 사유로 인정되는지, 그리고 고소나 처벌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가정 내 성폭력, 법적으로 어떤 의미인가요?

가정 내 성폭력은 단순히 "부부 사이의 다툼" 수준이 아닌, 형법상 처벌 대상이 되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2013년부터는 형법상 배우자 간 강간도 명백한 ‘강간죄’로 처벌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경우 모두 법적인 성폭력에 해당합니다:

  • 동의 없이 강제로 성관계를 강요한 경우

  • 위협, 협박, 폭행을 동반한 성행위

  •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유발하는 행위를 강요한 경우

즉, 법적으로도 부부 사이에 강간이 성립할 수 있으며, 피해자가 원한다면 충분히 형사 고소가 가능합니다.



| 가정 내 성폭력, 이혼 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1. 민법상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에 해당

가정 내 성폭력은 이혼 소송에서 주요한 파탄 사유로 인정됩니다.
민법 제840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우 재판상 이혼이 가능합니다:

  • 배우자에게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준 경우

  • 배우자의 폭력이나 학대, 성적 강요 등으로 혼인 생활이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

즉, 성폭력은 단순한 의견 차이나 성격 차이와는 비교할 수 없는 심각한 침해이기 때문에, 단독 이혼 사유로 충분히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증거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증명’입니다.
가정 내 성폭력은 보통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거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활용할 수 있는 증거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병원 진단서 또는 진료 기록

  • 문자, 카카오톡, 이메일 등 대화 내용

  • CCTV, 녹취 파일

  • 지인의 진술서

온라인 커뮤니티



| 이혼 소송과 형사 고소는 따로 진행됩니다

이혼 소송과 형사 고소는 서로 별개의 절차이지만,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형사 고소는 가해자의 성폭력에 대해 형사 처벌을 묻는 절차이며,

  • 이혼 소송은 피해자가 결혼 관계를 정리하고 위자료 및 재산 분할 등을 청구하는 민사 절차입니다.

형사 고소가 접수되어 수사나 재판이 진행 중이라면, 이혼 소송에서도 이를 강력한 입증 자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정 내 성폭력, 고소와 법적 대응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1. 성폭력은 강간죄 또는 강제추행죄로 처벌됩니다

가정 내 성폭력은 형법 제297조의 강간죄 또는 제298조의 강제추행죄로 고소가 가능하며, 실제로 배우자 간에도 처벌이 가능합니다. 처벌 수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강간죄: 3년 이상의 유기징역

  • 강제추행죄: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

만약 가해자가 상습적이거나 협박, 폭행을 수반했다면 더 무거운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2. 피해자는 다음과 같은 법적 절차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경찰서에 고소장 제출 또는 온라인 접수

  • 가정폭력 상담소 또는 여성긴급전화 1366 등을 통해 도움 요청

  • 변호사를 통한 이혼 소송 병행

  • 가정폭력 보호 명령 신청: 접근금지, 퇴거 명령 등 가능

3. 위자료 청구도 가능합니다

이혼 시, 가정 내 성폭력은 명백한 혼인 파탄의 책임 사유이기 때문에, 위자료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백만 원에서 천만 원 이상의 위자료 판결도 많습니다.

Previous
Previous

성범죄 피의자의 언론 노출 제한 가능성

Next
Next

성범죄 합의 중 발생할 수 있는 함정 합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