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회식 자리에서의 성희롱, 처벌 가능할까

요즘 직장 내 회식 문화도 많이 바뀌고 있지만, 여전히 회식 자리에서 불쾌한 언행이나 신체 접촉 등 성희롱이 발생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술자리라는 특수한 분위기 속에서 벌어진 일이더라도, 피해자는 분명한 성적 불쾌감과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됩니다.

그렇다면 회식 자리에서 발생한 성희롱도 법적으로 처벌이 가능할까요? 이 글에서는 직장 회식 중 성희롱의 개념, 법적 기준, 처벌 가능성과 함께 피해자가 할 수 있는 대응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회식 자리도 ‘직장 내’ 공간으로 본다

1. 회식 자리 역시 업무 관련 공간으로 간주됩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부분 중 하나가, “회식은 사적인 자리니까 법적으로 문제 삼기 어렵지 않을까?”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법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 남녀고용평등법 제2조 제2호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을
    업무와 관련하여 성적 언동으로 인해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고, 업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라고 규정합니다.

  • 이때 ‘업무와 관련한 장소’에는 회식, 워크숍, 회의 후 술자리 등 공식·비공식 모임도 포함됩니다.

즉, 회식 자리도 직장 내 성희롱이 성립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해석됩니다.


| 직장 회식에서 성희롱이 인정되는 기준

1. 언어적 성희롱

  • 외모나 신체에 대한 평가

  • 음란한 농담, 성적인 농담

  • 성관계 관련 발언 등

2. 신체적 성희롱

  • 어깨를 감싸거나 허리를 감싸는 등의 신체 접촉

  • 부적절한 포옹, 손잡기, 뒤에서 껴안기 등

  • 술을 핑계로 한 과도한 스킨십

3. 시각적 성희롱

  • 음란물이나 성적인 이미지 노출

  • 특정 신체 부위를 보는 듯한 시선

  • 외설적인 사진이나 동영상 보여주기

이처럼 행위의 형태가 다양하고, 피해자의 주관적 불쾌감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단, 상대방이 불쾌감을 느꼈다는 것이 합리적으로 인정될 수 있어야 하며, 그로 인해 업무환경이 악화되었는지가 핵심입니다.


| 회식 성희롱에 대한 법적 처벌과 대응 방법

1. 직장 내 성희롱, 어떤 법으로 처벌하나요?

  • 형사처벌:
    성희롱 자체는 형법상 ‘성폭력범죄’로 바로 처벌되진 않지만, 강제추행죄(형법 제298조)로 처벌이 가능합니다.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 행정처분 및 징계:
    고용노동부의 성희롱 진정 제도를 통해 사업장에 신고할 수 있으며, 가해자 징계 및 회사에 대한 시정조치 명령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 민사소송: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가 가능합니다.
    ▶ 법원에서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위자료를 인정한 판례도 있습니다.

2. 회사의 책임도 물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인 회사는 성희롱 예방 의무사건 발생 시 조치 의무를 지고 있습니다.

  • 이를 게을리했을 경우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도 가능합니다.

3. 스토킹처벌법 적용 가능성

회식 이후에도 계속적인 연락, 불쾌한 메시지, 접근 시도 등이 이어질 경우, 스토킹처벌법 적용도 가능합니다.
최대 징역 3년 또는 벌금 3천만 원


| 성희롱 피해를 입었을 때 이렇게 대응하세요

  1. 증거 확보: 문자, 메신저, 통화 녹음, CCTV, 목격자 진술 등

  2. 내부 신고: 회사 인사팀 또는 고충처리담당자에게 정식 신고

  3. 외부 신고: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원회, 경찰 등

  4. 법률 상담: 성희롱 전문 변호사 상담 후 민·형사 대응 고려

피해 사실을 혼자서 감당하지 마시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revious
Previous

데이트 중 발생한 강제추행, 성범죄로 처벌될까

Next
Next

지하철 몰카 피해자, 신고와 처벌 절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