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성범죄 전과가 남는 기준과 기간

어린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사회적으로도, 법적으로도 매우 중대하게 여겨지는 범죄 유형 중 하나입니다. 성범죄 전과가 남는 기준과 그 기간, 그리고 관련 법적 대응 방법까지 정확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공직 취업이나 특정 직업을 준비 중이라면 더욱 그렇죠. 이번 글에서는 관련 법률과 함께 이해하기 쉬운 정보를 정리해 드릴게요.



| 미성년자 성범죄 전과 기록은 어떻게 남고, 얼마나 유지되나요?

전과 기록의 보존 기간

형사 유죄 판결이 확정되면 전과 기록은 일정 기간 동안 법적 효력을 유지합니다. 형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 징역형·금고형: 형 집행 종료 후 5년~10년 보존

  • 벌금형: 판결 확정 후 5년 보존

  • 집행유예: 집행기가 종료된 후 5년 보존

이 기간이 지나면 ‘형이 실효’된 상태가 되어 법적으로 기록은 사라지지만, 일부 기관이나 내부 기록에는 여전히 남을 수 있어, 완전한 삭제를 원한다면 별도의 조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과 삭제나 감경은 가능한가요?

  • 특별사면: 국가 차원의 특별사면이 있을 경우, 특정 전과가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재심: 무죄 판결로 재심을 통해 전과가 삭제되기도 합니다.

  • 수사 기록 삭제: 기소유예 또는 무혐의 처분 시에는 경찰 기록의 삭제 신청이 가능하나, 성범죄는 어려운 편입니다.



| 미성년자 성범죄는 왜 이렇게 무겁게 다뤄지나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매우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어, 강력한 처벌과 사회적 제재가 뒤따릅니다.
형량도 다음과 같이 무겁게 책정됩니다:

  • 일반 강간죄: 미성년자 대상일 경우 최소 5년 이상 징역, 경우에 따라 무기징역까지 가능

  • 범행 이후 신상공개 및 전자발찌 부착: 재판부의 판단에 따라 정보공개,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명령이 내려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관에서는 공직 채용과정에서 해당 전과가 있는 경우 자격이 취소되는 것이 정당하다고 판단하기도 합니다.



| 이러한 상황일 때, 법적 대응 및 고소 가능성은?

피해자 입장이라면:

조속히 경찰에 신고하고, 의료 진단 및 증거 확보가 중요합니다.
형사 고소로 형사 처벌을 진행할 수 있고,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 또는 위자료 청구도 가능합니다.

자신이 피의자로 억울하게 신고받았을 경우:

객관적인 증거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당한 상황이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CCTV, 메시지, 통화기록 등)를 확보하고, 즉시 전문 성범죄 전문 변호사를 통해 대응 방안을 상담하시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Previous
Previous

강간죄와 준강간죄, 법적 차이는?

Next
Next

성범죄로 고소당한 공무원, 직장 내 징계와 별개로 형사처벌 받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