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연애 중 발생한 성범죄 사건의 처리 방법은? 관련 법률 및 대응 방법 정리

직장 내 연애는 흔히 있는 일입니다. 업무를 함께 하면서 자연스럽게 가까워지고 연인이 되는 경우도 많죠. 하지만 관계가 틀어지거나 일방적인 감정이 오가는 경우, 그 과정에서 성범죄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면 상황은 매우 심각해집니다.

특히 사내 연애였던 만큼 주변 시선, 조직 내 소문,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 등으로 인해 피해자는 더더욱 신고를 망설이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내 연애 중 발생한 성범죄 사건의 처리 방법, 적용 가능한 관련 법률, 그리고 법적 대응 절차에 대해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사내 연애 중 성범죄, 왜 더 복잡한가요?

1. '합의'와 '동의'의 경계가 문제

사내 연애 중 발생한 성범죄 사건에서는 가해자가 흔히 “연인 관계였으니 합의된 행동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적인 관계였다고 해서 동의 없는 성적 행위가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과거의 관계’가 아니라 행위 당시 ‘명확한 동의’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2. 피해자가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음

같은 조직에 속해 있다 보니, 가해자가 상사일 경우 인사권을 이용한 갑질로 이어질 수 있고,
설령 같은 직급이라 해도 피해자는 사내에서 고립되거나 소문에 시달리는 2차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신중하고 구조화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어떤 법률이 적용되나요?

1. 형법상 성범죄 조항

사내 연애 중 발생한 성범죄는 일반적인 성범죄와 마찬가지로 형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강제추행죄 (형법 제298조)
    폭행 또는 협박을 통해 성추행을 저지른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

  • 유사강간죄 (형법 제297조의2)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해 구강·항문 등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유사한 행위:
    2년 이상의 유기징역

  • 강간죄 (형법 제297조)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을 간음한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

※ 연인 관계였더라도 동의 없는 행위는 위 법률에 따라 처벌 대상이 됩니다.

2. 직장 내 성희롱 관련 법률 (남녀고용평등법)

  • 직장 내 성희롱 금지 (제14조)
    지위 또는 관계를 이용한 성적 언동은 금지됩니다. 연인 관계였던 경우라도, 상대가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음에도 성적 언행을 지속했다면 성희롱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불이익 조치 금지 (제14조의3)
    피해자가 문제를 제기했을 때, 회사나 상사가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것은 불법입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성범죄 피해 시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1. 즉시 증거를 확보하세요

가능하면 빠르게 아래와 같은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자, 카카오톡 등 대화 내용 캡처

  • 통화 녹음, 이메일 기록

  • 성범죄 행위 직후 주변 동료에게 알린 사실이 있다면 증언 확보

연인 사이였다고 해도 거부 의사나 불쾌함을 표현한 흔적이 있다면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2. 회사 내 공식 신고 절차 활용하기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피해자는 사내 고충처리 담당자 또는 인사팀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에 대해 즉시 조사와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회사가 이를 묵살하거나 피해자에게 불이익을 준다면, 고용노동부에 진정 또는 신고할 수 있습니다.

3. 외부 기관에 신고하기

  • 경찰서 또는 검찰청에 형사 고소 가능

  • 대한법률구조공단, 여성가족부 산하 성폭력상담소 등에 상담 및 지원 요청

법률 지원, 심리 상담, 의료 지원까지 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 있으니, 너무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 사내 성범죄 발생 시 가해자에게 적용 가능한 법적 처벌

1. 형사처벌

  • 강제추행, 강간, 유사강간 등 형법상 범죄로 처벌 가능

  • 전과가 있는 경우 또는 죄질이 나쁜 경우 실형 선고 가능성도 존재

2.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피해자는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가 가능

  • 사건으로 인해 사직하게 된 경우, 소득 손실 및 경력 단절에 대한 보상 요구도 할 수 있습니다.

3. 회사 차원의 징계

  • 해당 직원이 사규 위반 및 성희롱 가해자로 인정되면 해고, 정직, 감봉 등 징계 조치 가능

  • 인사위원회 회부, 사내 교육 명령, 부서 이동 등의 처분도 병행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성폭행 합의 종용 시 불법일까

Next
Next

직장 동료의 성희롱을 목격했을 때 신고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