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 사칭한 가상화폐 투자 권유,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친한 친구나 가족인 척 접근해 “비트코인, 알트코인으로 대박 나자”며 권유해 온다면?
이런 경우 단순 권유가 아니라 사기 범죄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인 사칭 사기가 어떤 요건으로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법적 대응은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형사·민사 측면에서 어떤 절차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쉽고 신뢰도 있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지인 사칭 투자 권유, 왜 사기죄인가요?

1. 기망 행위(속임수)가 있었는지 확인

  • 상대방이 “네 친한 친구” 또는 “회사 직원”인 것처럼 가장해

  • 투자 유도 과정에서 허위 신분을 사용했다면,

  • 이것은 사기죄의 핵심 요건 중 하나인 기망에 해당합니다.

  • 또한, “원금 보장” “몇 배 수익 보장” 등의 과장·허위 정보 역시 기망 행위입니다.

2. 기망으로 인해 돈을 송금했다면 충분

  • 피해자가 속아서 실제로 투자금(비트코인 등 자산)을 이체했거나 투자에 동의했다면,

  • 사기죄(형법 제347조)의 두 번째 요건인 ‘재산상 이익 취득’까지 성립합니다.

3. 가해자의 고의성이 밝혀지면 사기죄 성립 가능

  • 지인인 척 가장한 것이 사전 계획된 행동이었다면,

  • 이 경우 사기 전형적인 사례로 법원에서 엄격하게 판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피해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1. 즉시 증거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 카톡·메신저 대화, 통화 내역, 송금 영수증, 가상화폐 거래소 기록

  • 지인 사칭 정황과 투자 지시 흔적을 객관적으로 남겨둬야 합니다.

2. 형사 고소 → 경찰 수사 및 가해자 처벌 가능

  • 사기죄로 고소하면 경찰 또는 검찰에서 수사 시작

  • 유죄 인정 시 10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 벌금이 가능합니다.

3. 환불·손해배상 청구를 위한 민사소송

  • 형사 절차와 별개로, 민사소송을 통해 투자금 반환 및 손해배상 가능

  • 특히 명예훼손이나 정신적 피해에 따른 위자료까지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자산 추적 및 동결 요청 가능

  • 수사 단계에서 가해자의 가상계좌, 가상자산 지갑, 은행계좌 추적

  • 채권 가압류자산 동결 조치를 통해 피해금 회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어떤 법적 혐의까지 고려할 수 있을까요?

  • 사기죄(형법 제347조): 허위 신분·원금 보장 기망

  •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가상자산 투자 권유 시 불법 금융행위로 처벌 가능

  •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피해액이 클 경우 중형 가능 (징역형 우대)



| 실제 판례와 수사 동향

  • 한국경찰은 2024년 말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수백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 사기 조직을 집중 수사해 215명 체포, 수십 개 지갑 동결했으며

  • Reddit 사용자들도 "피싱, 인격 사칭, 허위 고수익 보장" 같은 방식의 사기에는 반드시 경찰 신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Previous
Previous

폰지사기 피해자, 민형사 병행 가능한지

Next
Next

비트코인 투자 사기, 형사 고소로 환불받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