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투자 사기, 형사 고소로 환불받을 수 있을까?
비트코인이나 가상자산 투자로 고수익을 약속받고 시작했지만,
막상 사기인 걸 알게 된 후에는 “이 금액, 돌려받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커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트코인 투자 사기에 속았을 때,
형사 고소를 통해 환불을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투자 사기와 단순 투자 실패, 무엇이 다를까요?
1. 사기 혐의가 성립하려면 ‘기망’이 필수입니다
사기죄 요건(형법 제347조):
투자자가 허위 사실에 속아 금전을 지급해야 하고,
가해자는 고의로 속였으며,
그로 인해 재산상 이득을 취득해야 합니다.
예컨대, “월 수익 50% 보장” “원금 위험 없다”며 속인 뒤 실제 운용 없이 투자금을 횡령했다면, 이는 명백한 사기입니다.
이에 해당된다면, 피해자는 형사 고소와 환불 청구가 동시에 가능합니다
2. 피해를 구제하려면 증거가 필요합니다
투자 약속 내용 (문자, 카카오톡, 녹음 등)
입금 내역 (거래소·은행 이체 기록)
광고나 홍보 화면 (약속한 수익률명시)
가해자의 자금 사용 내역 (횡령 정황 등)
이런 자료가 있어야 고소장과 동시에 수사와 처벌, 돈 반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형사 고소 후 실제 환불받을 수 있을까요?
1. 형사 재판과 민사 배상은 별도입니다
형사 고소 → 사기죄 유죄 판결 → 징역 또는 벌금
민사 소송 → 손해배상 청구
형사 유죄가 확정되면, 판사 재량에 따라 피해자에게 환급 명령이 첨부될 수 있습니다.
또는, 피해자가 직접 민사에서 반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2. 재산 추적과 회수 명령도 가능합니다
법원이 압류·추징 명령을 내릴 수 있어,
가해자의 은닉 재산, 가상자산도 환불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 실례 – 가상자산 사기로 징역형과 환수 판결 사례도 있습니다
창원지법 2025년 4월:
“월 50% 수익 보장” 허위 말로 약 30억 원을 받아 사기죄로 징역 3년 선고부산지법 2025년 4월:
6억 원 상당 투자 사기 사건 → 징역 4.5년, 피해액 610백만 원 전부 반환 명령광주고법 2024년 6월:
800만 달러 규모 사기 가상자산 케이스 → 징역 10년 확정, 가해자 재산 동결·환수 중 .
| 고소 외에도 가능한 대응 방법은?
1. 민·형사 병행 소송
형사 고소: 사기죄 처벌 및 재산 몰수
민사 소송: 구체적 환불·이자·정신 피해 보상
2. 수사기관 자산 추적
경찰·검찰은 금융실명법, 특정금융거래정보법에 따라 암호화폐 출처를 추적하여 동결 및 환수를 지원합니다 .
3. 금융당국 신고
금융위원회·금감원은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에 기반한 제보 제도를 운영,
사기 연루 금융회사의 허위 광고·자금세탁 의심 시 패널티 부여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