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 점검 사칭 방문 시 대응 방법

최근 아파트나 주택을 대상으로 전기·가스 점검 사칭 방문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안전 점검을 위해 꼭 들어가야 한다”라며 방문하는 사람이 실제 점검을 하는 것처럼 가장하지만,
실제로는 사기나 절도, 개인정보 유출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가스 점검 사칭 방문의 위험, 관련 법적 근거,
그리고 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방법까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전기·가스 점검 사칭 방문이란 무엇인가요?

전기·가스 점검 사칭 방문은 실제 전력회사나 가스회사를 사칭하여
주택에 들어가려는 행위를 말합니다.

  • “계약 변경을 위해 잠시 점검이 필요합니다.”

  • “안전 검사를 위해 들어가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접근하며, 목적은 다양합니다.
금품 갈취, 현금·카드 탈취, 개인정보 수집 등이 대표적이며,
입주민이 안심하고 문을 열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정식 점검은 사전에 통보되고, 신분증과 명함을 반드시 제시합니다.
따라서 허가 없이 방문한다면 사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사칭 방문의 법적 문제

전기·가스 점검을 사칭한 방문은 단순 위협이 아니라 법적으로 문제될 수 있습니다.

1. 사기죄(형법 제347조)

금전이나 재산을 편취할 목적이라면, 사기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형법 제347조: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주거침입죄(형법 제319조)

허락 없이 집 안으로 들어간 경우, 주거침입죄에 해당합니다.

  • 형법 제319조: “사람의 주거에 침입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3.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칭 방문을 통해 주민등록번호, 계좌정보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형사처벌 또는 과태료 부과가 가능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사칭 방문 대응 방법

1. 신분 확인

  • 반드시 신분증과 명함을 확인합니다.

  • 정식 점검이라면 회사에 전화로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문 열어주지 않기

  • 사칭일 가능성이 있는 방문자는 절대 혼자 문을 열어주지 마세요.

  • 안전을 위해 현관문을 열지 않고, 관리사무소나 경찰에 신고합니다.

3. 증거 확보

  • 사칭자의 사진, 차량 번호, 발언 내용 등을 기록합니다.

  • CCTV가 있다면 녹화 내용을 확보하면 법적 대응 시 증거가 됩니다.



| 피해 발생 시 가능한 법적 대응

만약 금전, 물품, 개인정보 피해가 발생했다면, 다음과 같이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경찰에 신고

  • 사칭 방문으로 재물 또는 금품 피해가 발생하면 사기죄 및 주거침입죄로 고소 가능합니다.

  • 주민등록번호, 계좌 등 개인정보를 탈취당했다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도 고소가 가능합니다.

  1. 민사 손해배상 청구

  • 피해 금액이나 정신적 피해에 대해 민법 제750조에 따라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1. 지자체·관리사무소 신고

  •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관리사무소에 신고해 출입 통제재발 방지 조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Next
Next

무단 도어 투 도어 전단 배포, 법적 제한은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