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당첨금을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을까?

누구나 한 번쯤은 로또 1등에 당첨되면 어떻게 돈을 쓸지 상상해보신 적 있으시죠? 그중에서도 “자녀에게 미리 증여하거나 물려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로또 당첨금은 일반적인 재산과는 다른 세금 이슈가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꼼꼼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또 당첨금을 자녀에게 넘길 수 있는지, 가능하다면 어떤 법적 절차와 세금이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법적 리스크까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로또 당첨금은 어떤 소득으로 분류될까?

로또에 당첨되면 받게 되는 돈은 단순한 ‘재산’이 아니라, 복권소득이라는 일시적 소득으로 분류됩니다.

1.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해당

로또 당첨금은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해당하며, 다음과 같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총 22%) 원천징수

  • 5만 원 초과 당첨금부터 세금이 붙으며, 당첨 시 세금을 떼고 지급됩니다.

즉, 세금을 제하고 받은 금액이 ‘당첨인의 순수 재산’이 되는 것입니다.


| 자녀에게 당첨금을 줄 수 있을까?

당첨금을 받은 이후에는 당첨인의 재산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세금’입니다.

2. 자녀에게 줄 경우, '증여세' 부과

부모가 자녀에게 현금으로 당첨금을 넘긴다면, 증여세가 발생합니다.

  • 성인 자녀의 증여세 공제 한도: 5,000만 원 (10년 기준)

  • 미성년 자녀는 공제 한도: 2,000만 원 (10년 기준)

이 한도를 넘는 금액을 증여할 경우, 초과 금액에 따라 최대 50%까지의 증여세율이 적용됩니다.


| 가족 명의로 나눠서 수령하면 괜찮을까?

로또 당첨금을 자녀나 배우자 등 가족 명의로 나눠서 수령하는 것은 흔히 있는 시도지만, 법적으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3. 국세청은 '명의신탁' 또는 '위장수령'으로 판단할 수 있음

실제로 당첨자가 한 명인데, 당첨금을 여러 명이 나눠서 받은 것처럼 하면,
국세청은 이를 사실상 '증여'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의신탁이 문제가 될 경우, 탈세 시도로 간주되어 가산세와 함께 조사를 받을 수 있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어떻게 자녀에게 안전하게 당첨금을 넘길 수 있을까?

  1. 일시 증여보다는 분산 증여를 고려하세요.
    → 10년 단위로 증여공제 한도를 활용하면 증여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정확한 자금출처를 남기세요.
    → 당첨자 본인의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이체하고, 이체 메모를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과도한 현금 증여는 자녀의 다른 세금 문제로 번질 수 있습니다.
    → 자녀의 금융소득이나 향후 자산 증가 시 세무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 법적 리스크와 고소 가능성은 어떤 경우에 생길 수 있을까?

1. 허위 수령자 명의 등록

  • 자녀나 배우자 등 타인의 이름으로 로또를 공동 구매하거나 수령한 척 위장한 경우
    위계에 의한 국세 포탈 혐의로 조세범처벌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가족 간 다툼으로 법적 분쟁 발생 가능성

  • 가족 간 당첨금 분배 약속이 명확하지 않아, 나중에 법적 분쟁(소송)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 공동 구매가 아닌데 "우리 다 같이 산 거잖아" 하는 식의 다툼이 흔합니다.

3. 자녀가 미성년자인 경우, 보호자 책임 문제

  • 미성년 자녀 명의로 증여하거나 계좌를 사용했다가, 나중에 자금 세탁 의심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자녀 명의 계좌의 용도와 금액 흐름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Previous
Previous

무허가 건물을 신고당했을 때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Next
Next

대리운전 중 사고가 나면 법적으로 누가 책임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