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유기하면 법적으로 어떤 처벌을 받을까?
최근 몇 년 사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사회적 책임과 법적 의무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 유기 문제는 단순한 윤리적 문제가 아닌, 명백한 불법 행위로 간주되며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사안입니다.
이 글에서는 반려동물을 유기했을 때 어떤 법적 처벌이 가능한지, 관련 법률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로 어떤 대응이 가능한지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반려동물 유기란 무엇인가요?
1. ‘유기’의 개념부터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법적으로 유기란 동물을 의도적으로 버리거나 방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단순히 “집에 놓고 외출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더 이상 돌보지 않겠다는 의사로 밖에 방치하거나
돌아올 수 없는 장소에 두고 떠나는 행위를 포함합니다.
2. 유기의 대표적인 예시
산이나 공원, 도로변 등에 강아지나 고양이를 버리는 경우
이사하면서 반려동물을 두고 이사가는 경우
동물병원이나 보호소에 무단으로 동물을 놓고 사라지는 경우
| 동물보호법에서 유기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을까?
1. 동물보호법 제8조(동물 유기 금지)
누구든지 소유하거나 보호하고 있는 동물을 유기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2. 동물보호법 제46조(벌칙 조항)
반려동물을 유기한 경우,
→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023년 기준 기준 과태료는 1차 100만 원, 2차 200만 원, 3차 300만 원까지 누진 적용)
3. 추가 처벌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유기된 동물이 사고를 유발하거나 생명에 위협을 받은 경우,
→ 동물학대죄(형법적 해석) 또는
→ 타인의 재산에 대한 손괴·과실치사 등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 반려동물 유기 시 실제 사례와 법적 대응
1. 실제 유기 행위로 적발되는 사례 증가 중
CCTV를 통해 산책 도중 동물을 놓고 떠나는 장면이 포착되거나
유기된 동물의 마이크로칩을 통해 주인을 추적한 사례도 많습니다.
2. 유기 동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유기된 동물이 도로를 배회하다 사고를 유발한 경우,
→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 형법상 과실치사 또는 과실치상죄가 적용될 여지도 있습니다.
3. 제3자가 대신 신고하거나 고발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유기를 목격한 제3자는 관할 지자체나 동물보호단체, 경찰 등에 신고 또는 고발 가능
CCTV 영상, 사진, 차량번호 등 유기 정황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 확보가 중요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유기 외에도 처벌 가능한 반려동물 관련 법 위반은?
1. 동물 학대죄
단순한 유기 외에도, 신체적 고통을 주거나 잔혹한 방식으로 죽이는 행위는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 해당합니다. (동물보호법 제46조)
2. 등록 의무 위반
개를 키우는 경우, 동물등록제에 따라 반드시 등록해야 하며
등록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최대 100만 원)
3. 목줄·입마개 미착용 등
외출 시 목줄 미착용, 공격성 있는 개에 입마개 미착용 시
→ 과태료 및 민형사상 책임 가능
| 반려동물 유기 시 가능한 법적 대응 및 고소 가능성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행위는 단순한 비도덕적 행동이 아닌, 법에 의해 처벌받는 불법 행위입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과태료 부과
유기 사실이 명확하고 반복적이면 형사 고발 가능
유기된 동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청구 및 과실범 적용 가능
제3자가 증거 자료와 함께 행정기관 또는 경찰서에 신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