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몰에서 사기를 당했을 때 법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요즘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쇼핑을 더 많이 하는 시대죠. 스마트폰 하나로 어디서든 물건을 구매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그만큼 사기 피해 사례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결제를 했는데 물건이 안 와요’, ‘다른 제품이 왔어요’, ‘연락이 두절됐어요’ 같은 경험, 혹시 있으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기를 당했을 때 어떤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피해자 입장에서 어떤 절차를 통해 보상과 처벌을 요구할 수 있는지
관련 법률을 바탕으로 쉽고 신뢰성 있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온라인 쇼핑몰 사기란 어떤 경우를 말하나요?

온라인 쇼핑몰 사기란, 판매자가 고의적으로 소비자를 속여 금전적 이익을 취득한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물건을 판매한다고 속이고 입금만 받은 뒤 배송하지 않는 경우

  • 실제와 전혀 다른 허위·과장 광고를 통해 상품을 판매한 경우

  •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도용하거나 불법 결제를 유도하는 경우

이런 사기 행위는 민사상의 손해배상은 물론, 형사상 처벌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 온라인 사기를 당했을 때 적용되는 주요 법률

1. 형법 제347조 – 사기죄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즉, 고의로 속여서 돈을 받거나 재산상 이득을 얻으면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히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기라면 형량이 더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2. 전자상거래법(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사업자는 거래의 투명성 확보, 소비자 피해 구제를 위해 일정한 고지 의무 및 청약 철회, 환불 등 소비자 보호 조치를 따라야 한다.”

→ 쇼핑몰 운영자가 법정 고지사항을 누락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환불·교환을 거부할 경우 행정처분 및 과태료 대상이 됩니다.

3. 민법 제750조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판매자가 사기나 불법행위로 인해 손해를 입혔다면,
민사적으로 금전 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사기를 당했을 때 법적 대응 방법은?

1. 판매자에게 연락 및 환불 요청

가장 먼저 시도해야 할 절차는 판매자에게 직접 환불 요청 및 내용증명 발송입니다.
하지만 연락이 되지 않거나 응답을 회피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2. 경찰에 형사 고소 – 사기죄 적용

사기 피해가 확실한 경우, 가까운 경찰서 또는 사이버범죄 신고센터(https://ecrm.police.go.kr)에
사기죄로 형사고소할 수 있습니다.

  • 입금 내역, 문자, 카카오톡 대화 내용, 상품 페이지 캡처 등 증거자료를 함께 제출

  • 경찰 수사를 통해 피의자 신원 파악 및 처벌 가능

3. 민사 소송을 통한 손해배상 청구

사기 피해로 입은 금전적 손해에 대해,
민사상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소액인 경우 소액사건심판제도를 활용해 비교적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피해구제 신청 – 한국소비자원 및 공정위

만약 정식 쇼핑몰 사업자라면,
한국소비자원 또는 공정거래위원회에 피해구제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신청

  • 공정위 전자상거래센터

단, 사업자 등록이 안 된 판매자거나, 명백한 ‘먹튀’ 사기일 경우엔 형사 절차를 병행해야 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사기를 막기 위한 예방법도 중요합니다

  1.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이용

  2. 사업자등록번호, 통신판매번호 확인

  3. 계좌이체 대신 에스크로 결제 시스템 활용

  4. 판매자 연락처, 후기 등을 꼼꼼히 확인

  5. SNS, 중고거래 앱에서는 직거래 시 각별한 주의



| 사기 피해 시 가능한 형사죄 및 법적 조치 요약

  • 형사상 사기죄(형법 제347조) → 10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형

  • 정보통신망법 위반 (허위정보 게시)

  • 전자상거래법 위반 → 과태료 및 영업정지

  • 민법상 손해배상청구 가능

  • 피해금액이 크거나 상습 범행일 경우 더 중한 처벌 가능

Previous
Previous

대리운전 중 사고가 나면 법적으로 누가 책임질까?

Next
Next

반려동물이 이웃에게 피해를 줬을 때 주인은 법적으로 책임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