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리뷰 조작을 지시한 경영진, 처벌 받을 수 있을까

온라인 쇼핑이나 서비스 이용 전, 많은 분들이 ‘리뷰’를 꼼꼼히 살펴보시죠. 그런데 만약 이 리뷰가 조작된 것이라면 어떨까요?
특히, 회사의 경영진이 직원에게 리뷰 조작을 지시했다면, 이는 단순한 내부 문제가 아니라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는 심각한 행위입니다.

오늘은 고객 리뷰 조작을 지시한 경영진이 처벌받을 수 있는 근거, 관련 법률과 실제 처벌 사례, 그리고 내부자가 고발할 수 있는 법적 대응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리뷰 조작,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불법 행위’입니다

고객 리뷰를 조작하는 행위는 단순히 마케팅 전략 차원을 넘어서,
소비자를 기만하고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특히, 기업의 대표이사나 경영진이 의도적으로 리뷰를 조작하도록 지시한 경우,
그 책임은 더 무겁게 평가되며 형사처벌, 과징금, 민사소송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리뷰 조작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법률

1.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표시광고법)

  • 제3조(부당한 표시·광고의 금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사실과 다르거나 소비자를 오인시킬 수 있는 광고·표시를 금지합니다.

  • 리뷰 조작은 ‘소비자 후기’로 위장한 허위·과장 광고에 해당합니다.

  • 처벌:

    •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또는 과징금 부과

    • 벌칙 조항에 따라 2년 이하 징역 또는 1억5천만원 이하 벌금

2. 전자상거래법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허위 정보 제공이나 소비자 기만 행위는 금지되며,
    이를 어길 경우 공정위의 제재 조치와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 리뷰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거짓 정보를 반복 유포한 행위 역시 이 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형법상 사기죄 (형법 제347조)

  • 허위 리뷰를 통해 소비자의 판단을 오도하고,
    이로 인해 경제적 이익을 챙겼다면 사기죄 성립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 처벌: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온라인 커뮤니티



| 경영진이 직접 지시한 경우, 책임은 더 큽니다

1. 지시자는 ‘공동 정범’으로 처벌 가능

직접 리뷰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지시를 내렸다면 공동 정범으로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 예: 대표이사가 마케팅팀에게 “가짜 리뷰 올려라”라고 명시적으로 지시한 경우

  • 이 경우, 리뷰를 올린 직원뿐만 아니라 지시한 경영진도 함께 처벌됩니다.

2. 회사 전체에 대한 행정 제재 및 이미지 훼손

  • 공정위가 조사에 나서게 되면, 해당 기업 전체에 대한 제재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소비자를 기만한 사실이 밝혀질 경우, 브랜드 신뢰도 하락 및 손해배상 소송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내부자가 문제를 인지했다면? 법적 대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 소비자를 속이기 위한 리뷰 조작이 있었다면,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 가능합니다.

  • 익명 제보 시스템도 있으니 내부 고발자 보호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형사 고발 (사기죄, 표시광고법 위반)

  • 조직적으로 리뷰를 조작하고 이를 통해 금전적 이득을 취한 정황이 있다면,
    형법상 사기죄로 고발이 가능합니다.

  • 특히 반복적인 리뷰 조작은 ‘상습범’으로 간주돼 형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소비자는 조작된 리뷰를 믿고 제품을 구매한 경우,
    회사나 관련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민사소송도 제기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브랜드 도용을 막기 위한 상표권 등록 전략

Next
Next

회사 노트북을 퇴사자가 반납하지 않을 경우 대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