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판매 수익 정산 분쟁 시 민사 소송 절차
위탁판매로 수익을 분배받기로 했는데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사업자에게는 큰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떤 경우에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그리고 민법과 절차상 어떻게 대응하는지, 추가로 어떤 형사 대응 가능성이 있는지를 SEO 친화적으로 쉽고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위탁판매 수익 정산,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위탁판매 계약에서 판매 실적 기준이 모호하거나, 자료 제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또는 정산 시기, 수수료 비율이 불투명한 경우 매출 누락·지급 거절 분쟁이 자주 발생합니다.
| 관련 법률 근거는 무엇인가요?
1. 민법 제390조 – 채무불이행 책임
계약서에 정산 방식·기준이 명시되어 있다면, 이를 이행하지 않은 위탁 판매자는 채무불이행으로 인정되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2. 계약서에 따른 위약금·손해배상 예정 조항
많은 위탁 계약서에는 정산 지연 시 연체 이자, 위약금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민사소송에서 우선적으로 배상액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증거 확보 및 사업자 제출 의무
정산 내역, 판매 실적 증빙, 온라인 플랫폼 매출 자료 등은 핵심 증거입니다.
정산 불가 사유가 명확할 경우, 법원이 자료 제출을 강제하는 사실조회나 가처분 명령을 내려줄 수 있습니다.
| 민사 소송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 내용증명 및 합의 시도
정산 지연 문제를 내용증명으로 공식 통보
7~14일 내 답변 및 이행 요구
조정 또는 협상을 먼저 시도하는 절차입니다.
2. 조정신청 또는 중재 절차 선택
사전 합의 내용에 조정·중재 조항이 있다면,
법원 조정(조정조서) 또는 대한상사중재원 중재를 통해
합의 시 강제력 있는 결정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정식 민사소송 제기
관할 법원(피고 주소지 기준)에 소장 제출
청구 내용: 판매 수익 전액, 지연 이자, 법정 비용 포함
1심 판결 이후 항소 가능
보통 6개월~1년 정도 소요됩니다.
4. 집행절차
승소 시 가압류·가처분 신청으로 확정 판결 집행
은닉 재산이 발견될 경우에는 사해행위 취소 소송으로 재산 회수도 가능합니다.
| 관련 상황에서 가능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위약금·연체 이자 + 사업 정산 명령
형사상:
사기죄(형법 제347조): 정산을 약속하고 고의 지연 시 고소 가능
업무상 횡령죄: 수익을 유용하거나 임의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처벌 대상
기타: 허위 매출 보고 시 공정거래법 위반 또는 정보통신망법 위반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즉, 계약서 위반 행위에는 민사소송은 물론, 상황에 따라 형사적 처벌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