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간 협업이 실패했을 때,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

기업 간 협업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큽니다. 특히 공동 프로젝트가 예상과 달리 실패로 끝났을 때, 비용 손실, 이미지 타격, 신뢰관계 붕괴와 함께 손해배상 분쟁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업 간 공동 프로젝트가 실패했을 때 손해배상 책임이 어떻게 분배되는지, 계약서 없이 진행된 경우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리고 실제 법적 대응 및 고소 가능성까지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공동 프로젝트 실패, 누구 책임인가요?

공동 프로젝트가 실패했을 때 모든 손해를 한 쪽이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손해가 발생한 원인에 따라 책임 분담의 법적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1. 프로젝트 실패 원인에 따라 책임이 갈립니다

  • 기술적 실패, 일정 지연, 의사소통 부재 등 실패의 원인이 어느 쪽에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 고의, 과실, 계약 위반이 있는 경우 → 해당 기업이 전부 또는 일부 책임

  • 예측 불가능한 외부 요인(천재지변, 정책 변경 등)손해배상 책임 면제 가능성도 있음

2. 계약서 유무에 따라 책임 범위가 달라집니다

  • 정식 계약서가 있는 경우 → 책임 조항에 따른 비율적 책임 분배 가능

  • 계약 없이 진행된 경우 → 민법상 조합관계 또는 부당이득, 불법행위로 책임 판단



| 손해배상 책임 분배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1. 계약상 채무불이행에 따른 책임 (민법 제390조)

  • 한 기업이 계약상 의무(납기 준수, 품질 확보 등)를 위반한 경우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가능

  •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해 프로젝트를 망쳤다면, 전액 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공동사업(조합) 관계일 경우 (민법 제703조~제712조)

  • 명시적 계약이 없어도, 공동 이익을 목적으로 협력했다면 ‘조합’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기여도와 과실 정도에 따라 손해배상 분담이 이루어집니다.

3. 불법행위 책임 (민법 제750조)

  • 파트너가 고의로 허위 정보를 제공하거나, 타사 프로젝트를 무단으로 유용했다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온라인 커뮤니티



| 공동 프로젝트 손해배상, 실제 대응 방법은?

1. 원인 규명부터 철저하게 정리하세요

  • 프로젝트 실패의 원인을 문서, 이메일, 회의록 등으로 명확히 분석해 두세요.

  • 객관적인 데이터(성과 지표, 일정표, 통신기록 등)는 책임 입증의 핵심 자료입니다.

2. 계약서를 근거로 손해배상 청구 여부 판단

  • 계약서에 손해배상 책임 조항, 면책 조항이 있다면 그 조항이 최우선으로 적용됩니다.

  • 정해진 규정이 없다면 기본 민법 원칙이 적용되어 법원이 책임을 분배하게 됩니다.

3. 협상이 어려우면 조정, 소송도 고려하세요

  • 먼저 내용증명 등을 통해 손해배상 요구 협의를 시도합니다.

  • 합의가 안 될 경우, 민사 조정 또는 손해배상청구 소송으로 분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형사 고소나 법적 책임도 가능할까요?

1. 고의적 허위 정보 제공 → 사기죄 (형법 제347조)

  • 의도적으로 성과를 과장하거나 실현 불가능한 계획을 속여 계약을 체결한 경우
    사기죄로 형사 고소 가능
    →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2. 무단 기술 유용 →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 함께 개발한 기술이나 자료를 협의 없이 제3자에게 넘겼다면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 민형사 책임 병행 가능

3. 업무상 배임 또는 횡령죄 적용 가능성

  • 공동 투자금이나 자산을 개인 목적으로 유용하거나 몰래 인출한 경우
    업무상 횡령 또는 배임죄
    → 5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 벌금



| 프로젝트 실패 후 손해는 나눠지지만, 책임은 따집니다

기업 간 공동 프로젝트는 성공하면 좋지만, 실패했을 경우 더 철저하게 책임 소재를 가려야 합니다.
계약이 없다 해도 법은 정황과 기여도, 과실 유무에 따라 손해배상을 분배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상대방이 고의적 행동이나 불법행위를 저질렀다면 민사뿐 아니라 형사 고소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공동 프로젝트 중이거나 이후 분쟁 상황이라면, 증거 자료를 잘 정리하고,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빠르게 받는 것이 현명한 대응입니다.

Previous
Previous

동업자와 갈등 발생 시 지분 정리 및 해산 절차는?

Next
Next

브랜드 로고를 도용당했다면? 상표권 침해 대응법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