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업자와 갈등 발생 시 지분 정리 및 해산 절차는?

동업 관계는 처음엔 서로에 대한 신뢰와 기대 속에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해관계가 얽히고 갈등이 생기기 쉽습니다. 2인 이상이 함께 운영한 사업이 틀어진다면, 지분 정리와 해산 절차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헷갈리거나 막막하실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법적으로 꼭 알아야 할 절차, 책임 분배 기준, 그리고 불법 행위가 있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1. 동업 해지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1.1 탈퇴 vs 해산의 구분

  • 탈퇴: 동업자 중 일부가 빠지는 경우, 나머지 동업자들이 사업을 계속 이어갈 수 있습니다.

  • 해산: 2인 동업이라면 한 명이 나가면 관계 자체가 종료되기도 하며, 해산 절차를 통해 사업을 완전히 정리해야 합니다 .

1.2 해산 청구

  • 신뢰 관계 파탄, 경영상 악화, 사업 목적 달성 불가 등의 이유로 누구나 가정법원에 해산 청구할 수 있습니다 .



| 2. 지분 정리와 청산 절차 따라야 할 법

2.1 지분 정산 기준

  • 기본적으로 동업약정에 따른 지분 비율에 따라 정산합니다.

  • 탈퇴 시에는 탈퇴 시점의 자산 평가 금액에 지분을 곱한 금액을 보상받습니다.

2.2 청산 절차

  1. 해산 결정 (동업자 합의 또는 법률적 해산 청구)

  2. 재산 평가 및 부채 상환

  3. 지분 비율에 따라 잔여 재산 분배

  4. 사업자 등록·세무 정리, 청산 종료 처리

  • 공동 창업 시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동업계약서에 청산 및 분쟁 해결 조항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3. 동업자 탈퇴, 잠적 등 분쟁 시 대응 방법

3.1 지분·재산 숨김 대응

  • 상대가 자산을 빼돌리거나 잠적한 경우,
    사실조회 및 금융거래정보 제출 명령을 가정법원에 청구해 계좌 등 기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4. 실제 분쟁 대응 플로우

  1. 사전 합의 및 협의

    • 대화·중재를 통해 자구 노력

  2. 내용증명 발송

    • 금지, 지분 정산 요구 등의 공식 통지

  3. 법원 신청

    • 해산청구, 지분정산, 사실조회 등을 진행

  4. 민·형사 소송 병행

    • 손해배상, 횡령·배임 고소 등 마지막 단계 진행'



| 계약서 작성과 증거가 가장 중요합니다

동업은 성공만큼이나 실패할 수 있는 사업 관계입니다. 초기 계약서에 해산 조항·지분 정산 방식·분쟁 해결 방식 등을 꼭 포함하시면 나중에 갈등이 생겼을 때 큰 도움이 됩니다.

갈등이 이미 발생했다면, 법적 절차(해산 청구·사실조회·민사 소송·형사 고소 등)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증거 확보를 철저히 하는 것이 최선의 대응입니다. 필요하다면 법률 전문가와 함께 전략적으로 대응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Previous
Previous

직원이 경쟁 업체에 이직한 경우, 영업비밀 침해 소송 가능 여부

Next
Next

기업 간 협업이 실패했을 때,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