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의 폭언, 민사소송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직장 내에서의 상사와의 관계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만큼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 관계가 일방적인 권위에 기대어, 폭언이나 인격 모독으로까지 이어진다면, 더는 개인적인 문제로 넘기기 어렵습니다.
요즘은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상사의 폭언에 대해 민사소송으로 대응하거나 형사고소를 고려하는 사례도 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상사의 폭언이 민법상 어떤 권리를 침해하는지, 실제로 민사소송이나 형사고소가 가능한지, 그리고 대응을 위해 필요한 증거와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상사의 폭언, 단순한 말실수로 넘기면 안 되는 이유

1. 인격권 침해는 명백한 민사상 불법행위입니다

민법 제750조에 따르면,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상사의 폭언이 단순한 지적을 넘어서, 모욕적이거나 인격을 짓밟는 수준에 이르렀다면 이는 불법행위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표현이 반복될 경우, 법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너 같은 게 어떻게 여기 들어왔냐?”

  • “넌 도대체 사람 맞냐?”

  • “말귀 못 알아듣는 XX”

이런 말들이 반복적으로 이어지며 정신적인 고통을 유발한 경우, 정신적 손해배상(위자료) 청구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2. 모욕죄 또는 명예훼손죄로 형사고소도 가능

상사의 폭언이 공적인 장소에서 이뤄졌거나, 제3자가 있는 앞에서 인격을 모욕한 경우, 형법상 ‘모욕죄’나 ‘명예훼손죄’에 해당할 수도 있습니다.

  • 모욕죄(형법 제311조): 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형

  • 명예훼손죄(형법 제307조):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물론, 모욕죄나 명예훼손죄는 친고죄이므로, 6개월 이내에 고소해야 처벌이 가능합니다.


| 상사의 폭언에 민사소송으로 대응하려면?

1. 민사상 위자료 청구가 가능합니다

상사의 폭언으로 인해 정신적 피해가 발생했다면, 민법상 위자료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폭언이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입니다.

실제 법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거를 바탕으로 위자료를 인정한 사례가 많습니다:

  • 녹취 파일: 상사가 폭언을 하는 음성 증거

  • 카카오톡, 메신저 기록: 폭언이나 모욕적 표현이 포함된 대화

  • 이메일, 문자 기록

  • 목격자의 진술서

2. 위자료는 보통 얼마까지 인정될까?

위자료 금액은 폭언의 정도, 기간, 반복성, 피해자의 정신적 충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 수준이 많지만, 상습적 폭언이나 직장 내 괴롭힘이 심각한 경우 수천만 원까지 인정된 사례도 있습니다.


| 직장 내 괴롭힘으로도 문제 제기할 수 있습니다

1.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에게 신고 가능

2019년 7월부터 시행된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에 따라, 직장 내 지위나 관계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는 언행을 반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조사하고 적절히 조치할 의무가 있습니다.

피해자는 사내 인사팀이나 감사부서에 신고할 수 있으며, 회사가 이를 묵살하거나 조치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진정도 가능합니다.

2. 산업재해로 인정받는 사례도 있음

심한 폭언과 괴롭힘으로 인해 우울증, 불안장애, 불면증 등이 발생한 경우, 이는 정신적 산업재해(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업무 관련 정신질환으로 산재 승인을 받은 사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상사의 폭언에 대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폭언이 단순한 불만 표현을 넘어설 경우, 다음과 같은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 민사소송: 민법 제750조에 따른 불법행위 위자료 청구

  • 형사고소: 형법 제311조(모욕죄), 제307조(명예훼손죄)에 따라 처벌 가능

  • 직장 내 괴롭힘 진정: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업주나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 산업재해 신청: 정신적 피해에 따른 산재 인정 가능성

중요한 건, 증거 수집법적 기한 내 대응입니다. 피해를 입었다면 가능하면 녹취, 대화 기록 등 증거를 남기고, 전문가 상담을 통해 빠르게 대응하시길 권합니다.

Previous
Previous

회사 내부 고발 후 불이익, 법적 대응은?

Next
Next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