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간 분쟁 해결 방법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다 보면 본사와 가맹점 간의 다양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계약 해석 문제부터, 로열티, 교육·지원 문제, 광고비 분담 등 실무적인 마찰까지 범위가 넓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맹점주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과 관련 법률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1. 프랜차이즈 분쟁의 주요 원인

1) 계약 위반 문제

  • 본사가 계약상 의무(교육, 지원, 광고 등)를 다하지 않거나

  • 가맹점이 계약상 의무(로열티 납부, 매장 운영 기준 준수 등)를 위반

2) 불공정 거래

  • 계약 조건 일방적 변경, 과도한 광고비 요구, 경쟁업체 강요 등

  •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적용 가능

3) 기타 영업상 문제

  • 상권 침해, 신제품 강제 도입, 매장 운영 간섭 등



| 2. 분쟁 해결 방법

1) 내부 협상

  • 가장 먼저 본사와 공식적으로 서면·이메일 협상

  • 문제 발생 시 기록을 남기고, 협상 내용을 문서화

2) 외부 기관 활용

  •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법 위반 사항 신고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가맹거래사 상담: 법률 및 조정 지원

  • 지자체 민원센터: 권리구제 및 상담

3) 법적 절차

  • 민사 소송: 계약 이행 청구, 손해배상 청구 가능

  • 조정·중재: 계약상 중재조항이 있을 경우 신속한 해결 가능

온라인 커뮤니티



| 3.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1) 가맹사업법 위반 시 형사·행정 조치

  • 과도한 계약 조건 강요, 허위·과장 정보 제공 시 형사 책임 가능

  • 과징금, 시정 명령 등 행정 처분 대상

2)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본사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면 손해배상 청구 가능

  • 필요 증거: 계약서, 서면 요구·응답, 거래 내역, 광고비 명세

3) 주의사항

  • 단순 불만 제기 수준에서 끝내지 않고, 증거 확보와 기록 관리가 핵심

  • 강압적 대응이나 허위 주장 시 오히려 명예훼손, 업무방해로 반소 위험



프랜차이즈 분쟁은 계약과 법률, 실무 문제까지 복합적이기 때문에 서면 기록, 전문기관 상담, 필요 시 민사소송·행정 조치 순으로 대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법적 대응을 준비할 때는 증거 확보와 조정·중재 절차 활용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revious
Previous

거래처의 상표 도용 시 손해배상 청구 절차

Next
Next

납품단가 인하 요구의 법적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