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부당징계에 대한 민사소송 대응 방법

직장에서 부당하게 징계를 받았다면 단순히 속상한 일을 넘어서 직업적 위치와 생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노동위원회 구제신청을 넘어 민사소송으로 명예 회복 및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관련 법조항과 절차, 실제 대응 방안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부당징계 기준과 먼저 해야 할 조치

1. 노동위원회 부당징계 구제신청

  • 근로기준법 제28조에 따라 부당한 징계인지 먼저 판단받아야 합니다.

  • 징계의 사유·절차의 정당성, 경중을 따져 구제 신청할 수 있으며,

  • 징계가 절차상 하자가 있거나 징계 수위가 지나치게 무거울 경우, 구제명령이 발동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가처분을 통해 징계 효력을 일시 정지시키기도 합니다.



| 민사소송으로 손해배상, 어떻게 준비하나요?

1. 손해배상 청구 요건

  • 불법행위 발생 입증: 부당징계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적법한 절차 없이 이루어진 점

  • 손해 발생 입증: 징계로 말미암은 급여 감소, 인사 불이익, 명예 훼손 등금전 및 비금전적 손해

  • 인과관계 입증: 징계 행위와 손해 간 직접적 연결성

이 요건을 갖춰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 등에 근거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2. 증거자료 확보

  • 징계 전후의 인사·징계 기록, 징계 사유 표기문서

  • 징계 경위 및 사유에 대한 입증 자료

  • 징계로 인한 급여 차이, 승진 누락 등 결과 입증 자료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법원에 위자료+실손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소송 절차 및 전략

1. 소장 제출 및 조정 절차

  • 가정법원 대신 민사법원(지방법원)에 소장 제출

  • 조정 또는 화해 권고 후, 합의 안 될 경우 정식 재판 시작

2. 재판 진행 및 판결

  • 신빙성 있게 입증하면
    징계 무효 확인 + 손해배상 판결이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교육기관이 징계 효력 정지 및 무효 판결이 나온 경우에도
절차상 하자와 징계권 남용이 인정되어 법원이 판단을 중시했습니다



| 부당징계와 함께 고소 가능한 형사 혐의는?

1. 모욕·명예훼손죄

징계 과정에서 정당한 근거 없이 모욕적 언행이나 허위사실 유포가 있었다면
형법 제311조·제307조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직권남용죄(공무원 대상)

공무원 소속이라면, 공권력을 이용한 부당징계는 직권남용죄로 형사 고소 가능합니다.

3. 인권침해 또는 차별 행위

징계가 인권침해성 또는 성별·연령·장애 등 차별 목적이라면
부당노동행위, 인권침해로 민사·행정적 규제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직장 동료의 허위사실 유포, 법적 대응은?

Next
Next

도소매업에서 리셀러가 무단으로 가격을 변경했을 때 대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