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 계약 위반 시 원청업체의 법적 책임과 손해배상 가능성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하도급 관계. 그런데 원청업체가 하도급 계약을 부당하게 위반할 경우, 하청업체는 법적으로 어떤 대응을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하도급법(공정거래법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원청 책임 범위, 구체적 법적 조치, 그리고 형사·민사 대응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하도급 계약 위반, 어떤 법조항에 해당할까요?

  • 하도급법은 원청이 하청에게 일방적으로 비용 전가, 대금 지연·감액, 서면 계약 미제공, 승인 없는 재하도급 등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이를 위반하면 공정위 과징금, 입찰 제한, 민사상 손해배상 등을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


| 원청이 계약 위반 시, 하청은 무엇을 요구할 수 있나요?

1. 부당특약 무효화 및 계약 조건 회복

  • 계약서에 기재되지 않은 비용 부담, 하도급 대금 인하 등의 조항은 즉시 무효가 되며,

  • 법원이나 공정위 신고를 통해 이를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2. 미지급 대금, 지연이자, 손해배상 청구

  • 원청이 약속한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거나 지연한 경우,
    → 하청은 대금 + 지연이자 + 실제 손해액에 대한 민사소송 청구가 가능합니다.

  • 특히 강제성이 있는 상황(예: 견적과 다르게 실제 작업량·단가 변경)에서는
    징벌적 손해배상(3배)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법원 판례: 원청도 손해배상 책임을 질 수 있나요?

  • 삼평토건 vs 대보건설 등: 지연된 착공·변경된 자재로 인한 비용을 법원이 인정,
    → 원청에게 18억 원 손해배상 판결을 내린 사례도 있습니다.

  • 화재 사고 사건: 하도급사가 화재사고를 냈지만, 원청이 현장 관리 책임을 다하지 않은 점이 인정되어,
    → 원청에게도 손해배상 책임이 부과된 바 있습니다.


| 특수한 경우: 형사 책임 가능성도 있습니다

  • 원청의 허위 계약, 비용 전가, 위법한 재하도급 등 고의적 갑질
    하도급법 위반으로 형사 고소가 가능하며, 공정위 제재 +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 또한, 안전관리 의무를 소홀히 한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형사 책임을 져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대응 절차: 하청업체로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나요?

  1. 계약서 및 증거 확보

    • 계약서, 견적서, 입찰문서, 이메일, 내부 지시 등 위반 사실을 입증할 자료 준비.

  2. 공정위 신고 또는 법원 무효 확인청구

    • 부당특약을 무효화하고, 위법 사항을 시정 허가받는 절차 진행.

  3. 민사 소송으로 손해배상 및 대금 청구

    • 지체 이자, 손해배상, 징벌적 배상(3배)까지 준비해 청구.

  4. 형사 고소 병행 가능

    • 하도급법 위반에 대한 형사 제재 절차 또한 고려.

Previous
Previous

유통업체가 납품가를 일방적으로 인하한 경우 대응책

Next
Next

직원이 경쟁 업체에 이직한 경우, 영업비밀 침해 소송 가능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