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이 회사 물품을 무단 사용했을 때 업무상 배임 성립 여부

회사 내에서 종종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는 직원이 회사 물품을 개인적으로 무단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단순한 회사 규정 위반으로 끝나는 걸까요? 아니면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는 중대한 법 위반일까요?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서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회사 물품 무단 사용, 단순한 규칙 위반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회사 소유의 자산은 그 사용 목적과 권한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차량, 컴퓨터, 자재, 공구, 샘플 제품 등을 직원이 사적인 용도로 사용했다면, 이는 단순한 규율 위반이 아니라 법적으로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업무상 배임죄란 무엇인가요? (형법 제356조)

업무상 배임죄는 형법 제356조에 따라,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 재산상 이익을 취하거나 제3자에게 이익을 취하게 하여 손해를 끼쳤을 때 성립합니다.

즉, 직원이 회사의 사무를 맡은 상태에서:

  • 회사 물품을 개인 용도로 사용하면서

  • 회사에 손해를 입히고

  • 자신 또는 제3자에게 이익을 준다면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사용이 업무상 배임으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

1.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일 것

직원은 회사라는 법인의 사무를 위임받아 처리하는 사람이므로, 기본적으로 해당 요건을 충족합니다.

2. 임무에 위배된 행위일 것

회사 자산은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않도록 정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를 알고도 무단 사용했다면, '임무 위배'에 해당합니다.

3. 재산상 손해 발생

물품의 가치가 감소하거나, 회사가 해당 물품을 사용할 기회를 잃는 등 경제적 손해가 발생하면 요건이 충족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판례에서 본 업무상 배임죄 적용 사례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업무상 배임죄를 인정한 바 있습니다.

  • 회사 대표가 회사 자금을 개인 채무 변제에 사용한 경우

  • 직원이 회사의 장비를 무단으로 반출해 사적인 영업에 사용한 경우

  • 업무용 차량을 상습적으로 개인 여행에 이용한 경우

이처럼 회사 재산을 사적 목적으로 사용하고, 회사에 손해를 입혔다면 업무상 배임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 관련 상황 발생 시 가능한 법적 대응 방법

1. 내부 징계 절차

회사 규정에 따라 직원에게 징계, 감봉, 해고 등의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징계는 비례의 원칙을 따라야 하며, 사규나 취업규칙에 따라 정당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2. 형사 고소: 업무상 배임죄

위법 행위가 명백하고, 회사에 실질적인 손해가 발생했다면, 업무상 배임죄로 형사 고소할 수 있습니다. 해당 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3. 손해배상청구

직원이 무단 사용으로 인해 회사 자산에 손해를 입혔다면,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파손된 장비, 소모된 자재, 손해액 등을 기준으로 금전적인 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사장이 단톡방에서 욕을 했을 때, 모욕죄 성립될까?

Next
Next

협력업체가 납품을 지연했을 때 계약상 손해배상 청구 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