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공급 차단 실수, 과실로 인한 형사책임 인정 여부

의료나 산업 현장에서 ‘산소공급’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병원이나 요양시설, 혹은 고압산소 챔버 등 다양한 현장에서 산소공급이 실수로 중단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단순한 실수라고 해서 책임이 면제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형사처벌까지 가능합니다. 오늘은 산소공급 차단이 과실로 인정될 수 있는 법률적 기준과 책임 범위, 그리고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산소공급 차단 실수, 단순한 '사고'로 끝나지 않는 이유

산소는 인체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생겼을 경우 그 결과가 매우 치명적일 수밖에 없죠. 법적으로도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업무상 실수’로 보지 않고, 업무상 과실치사상죄 등의 형사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산소공급을 중단한 사람의 직무와 책임, 사고의 예측 가능성, 주의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의료진이나 시설 관리자 등은 고도의 주의 의무가 요구되기 때문에 과실이 인정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관련 법률: 과실로 인한 형사책임은 어떻게 적용될까?

형법에서는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가한 경우, 고의가 없더라도 과실이 있으면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1. 형법 제268조 -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업무상의 과실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사람을 사망 또는 상해에 이르게 한 자는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산소공급 실수로 인해 환자가 사망하거나 상해를 입었다면, 해당 행위가 ‘업무상 주의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인정될 경우 이 조항에 따라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2. 형법 제266조 - 과실치사상죄

고의가 없더라도 일반인의 주의 의무 수준에서 과실이 인정될 경우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소 밸브를 잠갔거나 점검을 게을리한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3. 의료법 및 관련 행정처분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경우, 의료법상 행정처분(업무정지, 면허 정지 등)이 함께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단순 형사처벌 외에도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며, 피해자 가족은 병원 또는 해당 의료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산소공급 실수 상황에 처했을 때 가능한 대응은?

1. 형사고소 가능 여부

피해자(또는 유가족)는 산소공급을 중단한 관계자(의료진, 시설 담당자 등)를 업무상과실치사상죄 또는 과실치사죄형사 고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경찰이나 검찰에서 조사를 진행하며, 과실 여부와 책임 범위에 따라 형사처벌 여부가 결정됩니다.

2. 민사소송과 손해배상

형사와 별개로, 피해자는 해당 기관이나 개인에게 민사소송을 제기하여 치료비, 장례비, 위자료 등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관 측의 관리 소홀이 명백히 드러날 경우, 책임 보험으로 보상이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

3. 법률 자문 및 증거 확보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능한 빨리 전문 변호사와 상담하고, CCTV, 산소공급 기록, 의료 기록, 담당자 인계서류 등 관련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 대응이 사건의 처리 방향을 크게 좌우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병원장과 진료의의 공동책임, 형법상 공범 성립 여부

Next
Next

의료인에 의한 성범죄 발생 시 형사 대응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