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박죄 성립 요건 및 문자 협박 고소 사례

남에게 “죽이겠다”, “가만두지 않겠다” 같은 협박성 문자를 받은 적 있으신가요? 문자 한 줄, 카톡 한 번이 단순 감정 섞인 표현을 넘어서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협박죄의 성립 요건, 처벌 수위, 그리고 문자 협박 고소 사례와 대응 절차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알기 쉽게 안내해 드립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협박죄란 무엇이며 어떤 요건이 필요한가요?

협박죄는 형법 제283조에 따라, 타인에게 해악을 고지해 공포심을 유발했을 때 성립합니다.

1. 구체적 해악의 고지 필요

  • “죽여버릴 거야”, “집에 찾아가겠다”처럼 실현 가능성이 있는 구체적 위협이어야 합니다

2. 고의성

  • 단순 감정 표출이 아니라, 상대방이 공포감을 느끼도록 하려는 의도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3. 공포감 유발

  • 실제 피해자가 두려움을 느꼈거나, 객관적 상황으로 공포가 예상되는 경우 협박죄로 인정됩니다


| 문자 메시지만으로도 협박죄가 성립되나요?

네, 문자나 카톡을 통한 협박도 충분히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1. 문자가 상대방에게 도달하면 성립

  • 피해자가 문자 메시지를 받았고, 내용이 위협적인 경우 협박죄 성립

2. 처벌 수위

  • 일반 협박죄: 3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

  • 정보통신망경유 협박: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3. 특수 협박일 경우 더 무거운 형량

  • 흉기·위험물 이용, 집단 협박 등은 7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에 해당합니다


| 문자 협박 고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 증거 확보가 핵심

  • 문자를 캡처하거나 원본 포함 전체 대화 기록 저장하세요.

  • 녹음, CCTV, 목격자 진술도 도움이 됩니다

2. 신고 절차

  • 가까운 경찰서나 사이버수사대에 방문 또는 온라인 접수.

  • 고소장 작성 후 증거 제출, 피해자 진술 → 가해자 조사 → 검찰 송치

3. 구속 가능성도 존재

  • 반복 협박, 심각한 위협 의도, 피해자의 공포 내용이 분명하다면 경찰이 피의자 구속 수사를 할 수 있습니다


| 문자 협박 실제 사례와 처벌 결과

  • 전 연인이 “죽이겠다” 문자 10여 회 보냄: 피해자가 경찰에 신고해 협박죄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 접근금지 명령이 내려짐

  • 문자 협박으로 벌금형: “돈 갚지 않으면 너네 가족에게 알려주겠다” 등의 협박 메시지에 법원은 벌금 100~200만원 선고


| 협박죄 외 추가 대응도 가능합니다

1. 민사 손해배상

  • 협박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입증하면, 민법 제750조(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따라 위자료 청구가 가능합니다.

2. 명예훼손죄 병행 가능성

  • 협박 과정에서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인격을 침해했을 경우, 형법 제307조(명예훼손죄)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3. 반복·집단적 협박은 가중처벌

  • 정보통신망법 위반이나 특수 협박죄로 가중된 형사 처벌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전자발찌 차고 있는 성범죄자의 위치정보 공개 요건

Next
Next

성범죄 무고죄로 역고소 당했을 때 대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