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에서 신체 접촉, 성추행으로 처벌받을 수 있나요?

길을 걷다가 우연히 누군가와 부딪치거나 신체 접촉이 있을 때, 단순한 사고일 수도 있지만 불쾌감을 유발하는 고의적인 접촉이라면 그건 단순한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특히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신체 접촉은 법적으로 ‘성추행’에 해당될 수 있으며,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길거리에서의 신체 접촉이 어떤 경우에 성추행으로 인정되는지, 그리고 관련 법률과 실제 처벌 수위, 더불어 피해자와 가해자가 처할 수 있는 법적 대응 방향까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길거리 신체 접촉, 모두 성추행일까?

길거리에서의 모든 신체 접촉이 성추행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발적이거나 불가피한 접촉은 범죄로 보지 않지만, 고의성이 인정되거나 성적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되면 성추행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1. 성추행의 법적 정의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는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 형법 제298조 강제추행죄에 따르면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해 추행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2. 고의성과 성적 목적이 중요한 판단 기준

  • 일시적인 접촉이라도, 피해자가 성적 수치심을 느꼈고
    행위자에게 성적 의도가 있었다면 강제추행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 일부러 여성의 엉덩이를 스치듯 만지는 행위

  • 신체 특정 부위를 밀착하여 접촉하는 행위

  • 지나가며 가슴, 허벅지 등 민감 부위를 손으로 건드리는 행위 등



| 처벌 수위는 어느 정도일까?

길거리 성추행은 단순한 범칙금이나 경범죄로 끝나지 않고,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강제추행죄 처벌 내용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

  • 전과로 남으며,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도 가능합니다:

  •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 명령

  • 취업제한 명령 (학교, 어린이집, 청소년 관련 기관 등)

온라인 커뮤니티



| 피해자는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길거리에서 성추행 피해를 입었다면 다음과 같은 대응이 가능합니다.

4. 증거 확보 및 고소 절차

  • 즉시 112에 신고하고, 가해자의 외모·옷차림·행동을 기록합니다.

  • CCTV 영상 확보, 목격자 진술, 피해 당시 입은 옷 보관 등도 유리한 증거가 됩니다.

  • 이후 경찰에 고소장 제출 → 조사 → 기소 여부 판단 절차를 밟게 됩니다.



| 무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은?

만약 실제로 성적 의도가 없는 단순한 접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추행으로 고소되었다면, 억울함을 풀기 위한 무고죄 대응도 가능합니다.

5. 무고죄(형법 제156조)

  • 타인을 형사처벌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고소하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단, 무고죄를 입증하려면 상대가 일부러 허위로 고소했음을 입증해야 하므로 쉽지는 않으며, 변호사와의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Previous
Previous

아청법 위반, 장난으로라도 하지 마세요 – 온라인 성적 유인 처벌 정보

Next
Next

미성년자 대상 성희롱, 부모의 대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