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에서의 성범죄 사례와 대응

요즘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사람들과 쉽게 소통하고 일상을 공유하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도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장난처럼 보일 수 있는 행동도 법적으로는 명백한 범죄가 될 수 있고, 피해자에게는 큰 정신적 충격과 고통을 남기게 됩니다.

오늘은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발생하는 성범죄 유형과 관련 법률, 그리고 법적 대응 방법과 고소 가능성까지, 실제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소셜미디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 유형은 다양합니다

온라인이라는 특성상 가해자는 얼굴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피해자 입장에서는 더 큰 무력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형태든 성적인 불쾌감을 주거나, 명예를 훼손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는 모두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1. 불법 촬영물 유포 및 리벤지 포르노

  • 연인 관계에서 촬영한 사적인 영상 또는 사진을 이별 후 협박용으로 사용하거나 인터넷에 유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제3자가 불법적으로 촬영된 성적 이미지를 공유하거나 퍼뜨리는 경우도 처벌 대상입니다.

→ 해당 행위는 성폭력처벌법 위반이며, 엄중한 처벌이 뒤따릅니다.

2. 디지털 성희롱 (DM·댓글·채팅을 통한 성적 발언)

  •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틱톡 등에서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메시지나 댓글을 반복적으로 보내는 경우

  • 성적인 농담, 외모 평가, 음란한 이미지 전송 등도 포함됩니다.

→ 경미해 보일 수 있지만, 형법상 모욕죄, 성폭력처벌법상의 통신매체이용음란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신체 사진 도용 및 합성 (딥페이크 등)

  • 피해자의 사진을 무단으로 저장하거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해 유포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 최근에는 AI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성범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성폭력처벌법, 정보통신망법 위반, 명예훼손죄 등 여러 법률 위반 가능



| 소셜미디어 성범죄 관련 주요 법률 정리

소셜미디어 성범죄는 단순한 ‘인터넷 상의 문제’가 아닙니다. 실제 형사 처벌 및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한 중대한 범죄입니다.

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

  • 성적 이미지를 유포하거나 협박하는 행위

  • 불법 촬영물을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인터넷에 업로드한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영상물 삭제 명령 병행

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정보통신망을 통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 음란한 내용 또는 사생활 침해 정보를 유포하는 경우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가능

3. 형법

  • 모욕죄: 공개된 장소(댓글, 게시판 등)에서 성적인 표현으로 상대를 모욕한 경우
    →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 벌금

  • 명예훼손죄: 사실 또는 허위의 내용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해친 경우
    → 사실: 3년 이하 징역 / 허위: 5년 이하 징역

온라인 커뮤니티



| 실제 사례로 살펴보는 소셜미디어 성범죄

1. 전 연인이 SNS에 사적인 사진을 유포한 사건

  • 실제로 연인 사이였던 상대가 이별 후 사적인 사진을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리고 피해자를 협박한 사건에서,
    → 법원은 징역형을 선고하고, 피해자에게는 위자료 수백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이 인정되었습니다.

2. 유명인의 얼굴을 합성한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 유명 여성 연예인의 얼굴을 음란물에 AI로 합성한 후 커뮤니티에 유포한 사례
    → 합성한 사람과 유포한 사람 모두 성폭력처벌법 위반으로 형사 입건



| 피해를 당했다면 이렇게 대응하세요

1. 증거 수집은 가장 우선입니다

  • DM, 댓글, 영상, 사진, 유포된 링크 등을 캡처 및 백업

  • 링크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웹 아카이브(archive.today) 저장도 추천드립니다.

2.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또는 사이버범죄 신고

  • 불법 촬영물 삭제 요청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또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빠르게 처리 가능합니다.

  • 경찰 사이버범죄수사대에 직접 신고도 가능합니다.

3. 법적 대응 – 형사 고소와 민사 소송

  • 성폭력처벌법, 정보통신망법, 형법 위반 등으로 형사 고소 가능

  • 동시에 위자료 청구, 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민사 소송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 소셜미디어 성범죄, 가능한 법적 처벌 및 대응 요약

  • 성폭력처벌법 위반: 불법 촬영물 유포, 협박 등 → 최대 7년 이하 징역

  • 정보통신망법 위반: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 등 → 최대 7년 이하 징역

  • 형법상 모욕죄·명예훼손죄: 경미한 성적 발언도 처벌 대상

  • 민사상 손해배상: 정신적 고통에 따른 위자료 청구 가능

  • 피해 사실이 있다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02-735-8994),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여성가족부 등 전문기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Next
Next

성범죄와 무고죄가 함께 제기된 사건의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