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에서의 몰래카메라, 처벌 수위는 어디까지일까?
요즘 뉴스나 SNS에서 ‘몰카’ 관련 사건들을 심심치 않게 접하셨을 겁니다. 특히 지하철, 화장실, 탈의실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몰래카메라 범죄는 사람들의 불안과 분노를 동시에 자아내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공공장소에서의 몰래카메라 범죄가 어떤 법률로 처벌받는지, 처벌 수위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만약 피해를 입었다면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를 쉽고 신뢰성 있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몰래카메라는 왜 문제일까요?
몰래카메라는 단순한 장난이나 호기심의 문제가 아닙니다. 누군가의 신체나 사생활을 당사자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유포하는 행위는 명백한 범죄입니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진다면, 타인의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 관련 법률은 무엇인가요?
몰래카메라 범죄는 주로 아래와 같은 법률에 의해 처벌됩니다.
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
이 조항은 가장 대표적인 몰래카메라 관련 법률입니다.
타인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당사자의 의사에 반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 부위를 촬영하는 경우
모두 이 법에 따라 처벌받습니다.
▶ 처벌 수위
징역 7년 이하 또는 벌금 5천만 원 이하
촬영물을 유포하거나 판매할 경우: 징역 7년 이하 또는 벌금 5천만 원 이하
유포 목적이 있을 경우에는 가중처벌될 수 있습니다.
2. 정보통신망법 제44조의7 (불법촬영물 유포 시)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을 인터넷이나 SNS에 유포할 경우,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도 처벌될 수 있습니다.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3. 성폭력처벌법 제15조 (촬영물 등 반포 등)
불법촬영물을 소지·구입·저장하거나 타인에게 보여준 경우에도 처벌 대상입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공공장소에서의 몰카는 더 무겁게 처벌되나요?
공공장소, 특히 불특정 다수가 오가는 공간(지하철, 화장실, 탈의실 등)에서 몰카를 설치하거나 촬영한 경우는
범행의 고의성, 계획성, 피해자의 정신적 충격 등을 고려해 더 강한 처벌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불법촬영 장비(예: 초소형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에는 형법상 건조물 침입죄 혹은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등으로 추가 처벌도 가능합니다.
| 실제 처벌 사례는 어떤가요?
최근 판례들을 보면, 단순 촬영만으로도 실형 또는 집행유예가 선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반복적이거나 유포 행위가 있었던 경우에는 법원이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예:
지하철에서 여성의 하체를 촬영한 남성 →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
화장실에 카메라 설치 → 징역 2년 실형
| 피해를 입었을 때 가능한 법적 대응은?
몰래카메라의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경찰 신고 및 고소
112 신고 또는 가까운 경찰서에 방문
불법 촬영 혐의로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위반으로 고소 가능
2. 증거 확보
촬영된 상황, 주변 CCTV, 촬영 장비 등 객관적 증거 확보가 중요합니다.
스마트폰 등에 저장된 경우 디지털 포렌식 분석 요청 가능
3. 유포 여부 확인 및 삭제 요청
유포 정황이 있다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또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삭제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4. 민사소송 가능성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도 가능합니다. 형사처벌과는 별도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