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 중개 플랫폼 투자 사기 형사처벌 가능 여부

최근 몇 년 사이에 ‘수익형 플랫폼’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을 유인하는 도박 중개 플랫폼 투자 사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합법적인 투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법 도박을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겠다며 투자금을 끌어모으고, 결국 투자금을 편취한 뒤 연락을 끊거나 사이트를 폐쇄해버리는 경우가 많죠.

이런 상황에서 “정말 형사처벌이 가능한가요?”, “어떤 죄로 고소할 수 있나요?”, “실제로 처벌이 이뤄지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도박 플랫폼 투자 사기 관련 법률과 대응 방법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도박 중개 플랫폼 투자 사기란 어떤 방식인가요?

도박 중개 플랫폼 투자 사기는 주로 아래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1. 고수익 보장, 수익 분배 명목의 투자 유도

불법 온라인 도박 플랫폼에 투자하면 일정 수익을 보장해주겠다고 하면서 사람들을 끌어들입니다. “광고 수익”, “유저 수익 배당” 등의 명목으로 포장하지만 실상은 도박 참여자들의 돈을 유입시키기 위한 수법입니다.

2. 다단계 형식의 홍보 및 유인

투자자를 모집하면 수당을 주는 식의 다단계 구조로 사람들을 모집하며, SNS나 메신저를 통해 홍보가 이뤄집니다.

3. 일정 수익 후 사이트 폐쇄 또는 잠적

초기에 일부 수익을 지급해 신뢰를 얻게 만든 뒤, 투자자가 많아지면 돌연 연락이 끊기거나 사이트가 폐쇄되는 방식입니다.



| 도박 플랫폼 투자 사기, 형사처벌이 가능한 이유

1. 사기죄 적용 가능 (형법 제347조)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사기죄에 해당합니다.
처음부터 수익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으면서도 투자자를 속여 돈을 받아낸 경우, 이는 사기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사기죄 형량: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도박 개장·중개 행위는 불법 (형법 제246조, 제247조)

도박 중개 플랫폼 운영 자체가 형법상 도박장 개장죄 또는 도박죄의 중개에 해당합니다.
플랫폼을 직접 운영하거나 도박에 투자하게 한 경우에도 처벌이 가능합니다.

  • 도박장 개설죄 형량: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 상습 도박죄로도 함께 처벌 가능성 있음

3. 유사수신행위법 위반 가능성

금융당국의 인허가 없이 불특정 다수로부터 투자금을 받았다면,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처벌조항: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온라인 커뮤니티



| 민사상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나요?

형사 고소와는 별도로, 민사소송을 통해 투자금 반환 및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다만, 피의자가 이미 도피 중이거나 자산을 빼돌린 경우 실제 회수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 유도 당시의 대화 내용, 사이트 화면, 송금내역, 계좌번호, 소개자 연락처 등 가능한 모든 자료를 확보해 두시는 게 좋습니다.



| 사기 피해를 입었을 때 가능한 법적 대응은?

1. 형사 고소 가능

  • 사기죄, 도박장 개장죄, 유사수신행위 위반 등으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 관할 경찰서 또는 검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하면 수사기관이 피의자를 수사합니다.

  • 피의자가 해외에 있는 경우, 인터폴 적색수배 등의 절차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2. 민사소송 병행

  • 형사 고소와 동시에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재산이 확인된다면 가압류 조치도 병행해 피해 회복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인터넷 카페·커뮤니티 비방글, 명예훼손/모욕 고소 기준

Next
Next

렌탈 사기 피해, 형사와 민사 절차 동시에 진행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