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합의서 작성 시 꼭 넣어야 할 필수 조항은?

이혼을 결정하는 과정도 쉽지 않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이혼 이후의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합의서 작성입니다. 감정이 앞서는 상황에서도 꼼꼼하게 합의서 내용을 정리해두면 나중에 불필요한 법적 다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혼합의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필수 조항들, 그리고 관련된 법률적 근거추후 법적 대응 가능성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이혼합의서란? 법적 효력은 어떻게 되나요?

이혼합의서는 부부가 협의이혼을 하면서 이혼 이후의 권리·의무 관계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법적으로는 민법가사소송법의 적용을 받으며, 서면으로 작성하고 서명 또는 날인을 하면 민사상 계약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만약 이혼합의서가 공증되거나 가정법원에서 확인을 받은 경우, 강제집행 효력까지 부여될 수 있습니다.



| 이혼합의서 작성 시 꼭 들어가야 하는 필수 조항

1. 재산분할 관련 조항

이혼 시 가장 많이 분쟁이 발생하는 부분입니다.

  • 부부 공동으로 형성한 재산에 대해 어떻게 나눌 것인지

  • 부동산, 차량, 예금, 보험 등 각 자산의 소유권 귀속 여부

  • 채무가 있다면 누가 부담할 것인지

※ 민법 제839조의2에 따라 재산분할청구권은 이혼 후 2년 내에 청구할 수 있으므로, 합의서에 미리 정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위자료 지급 여부

  • 위자료를 지급할 것인지, 금액과 지급 방식은 어떻게 할 것인지

  • 위자료를 주지 않기로 합의했을 경우, 서면에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자료는 일방의 유책사유(외도, 폭력 등)가 있는 경우 청구 가능한 손해배상입니다.

3. 자녀 양육권과 친권, 면접교섭권 조항

자녀가 있는 경우,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핵심 내용입니다.

  • 양육권자와 친권자 지정 (부 또는 모 중 누구)

  • 양육비 금액 및 지급 방식 (월 얼마씩, 지급 기한 등)

  • 면접교섭권 보장 여부 및 일정 (예: 격주 토요일 오후 등)

※ 민법 제909조, 제837조의2 등에 근거하여, 자녀 복리를 최우선으로 판단해야 하며, 이혼 후에도 법원이 직권으로 양육자 변경이나 양육비 조정이 가능합니다.

4. 부동산 등기 및 재산 이전 절차

부동산, 차량 명의 변경 등의 절차는 이혼합의서에 명확히 적지 않으면 실제 이행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누구 명의로 이전할지

  • 언제까지 이전 절차를 마칠지

  • 이전에 필요한 서류 준비 및 책임 소재

5. 기타 사항 (생활비, 보험, 반려동물 등)

사소해 보이지만 분쟁이 자주 생기는 부분입니다.

  • 기존 보험의 해지나 유지 여부

  • 반려동물의 소유권 및 사료·병원비 부담

  • 이혼 후 일정 기간 동안의 생활비 지급 등

온라인 커뮤니티



| 관련 법률 및 조항 간단 정리

  • 민법 제839조의2: 재산분할청구권

  • 민법 제843조~제846조: 협의이혼과 그 효력

  • 민법 제909조, 제837조: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 가사소송법 제2조: 가정법원의 사무 관장 범위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에 따른 위자료 청구



| 분쟁 발생 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은?

이혼합의서 내용이 이행되지 않거나 위조·허위 작성된 경우 다음과 같은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 합의서 불이행 시: 민사소송(이행청구), 공증 시 강제집행 신청 가능

  • 위자료나 양육비 미지급 시: 채권추심 및 재산 압류 가능

  • 재산 은닉: 사기죄 또는 재산범죄로 형사 고소 가능

  • 허위 진술로 협박·강요 시: 협박죄, 강요죄 적용 가능

합의서를 작성할 때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향후 분쟁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배우자가 이혼 거부할 때 재판 이혼 절차는?

Next
Next

사실혼 관계 해소 시 재산 정리는 어떻게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