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공동 채무, 이혼하면 누구 책임인가요?

이혼을 준비하거나 진행 중이신 분들이 가장 고민하시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채무 문제입니다.
“이혼하면 채무도 나눠지는 걸까?”, “배우자가 남긴 빚까지 내가 갚아야 하나?” 같은 궁금증이 많으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부부 공동 채무와 개인 채무의 구분, 이혼 시 책임 분배 기준, 법적 근거, 그리고 최종적으로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공동 채무 vs 개인 채무, 어떻게 구분하나요?

1. 공동 채무란

  • 혼인 중 함께 발생한 채무:
    예를 들어 전세자금 대출, 생활비·자녀교육비 대출, 공동 사업 대출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법적으로는 연대채무 처리돼, 채권자는 누구에게나 전액 청구할 수 있습니다.

2. 개인 채무란

  • 개인적 이유로 발생한 빚:
    배우자 개인의 도박, 투자, 사치품 구매 등을 위한 채무는 일반적으로 배우자 책임이 아닙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이혼 시 채무 책임은 이렇게 정해집니다

1. 이혼 전에 정리할 수 있다

협의이혼 시, 채무 부담 비율을 합의서에 명확하게 기록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정법원에서도 분쟁 시 이를 근거로 판단합니다.


2. 법원 판단 기준

  • 채무 발생 목적 및 내용: 공동생활, 자녀 양육, 교육 등 용도라면 공동 채무로 인정

  • 각 배우자의 경제 상황, 혼인 기간, 채무 발생 시기 등 종합 고려

  • 이혼 조정 또는 소송 결과에 따라 채무 분담 비율이 결정됩니다.



3. 이혼 후에는 어떻게 되나요?

이혼 후 발생한 채무는 각자의 책임입니다.
반면 이혼 전의 공동 채무는 원칙적으로 여전히 부담해야 하고,
연대채무인 경우 채권자는 누구에게든 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채무 문제 발생 시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할까요?

1. 협의서를 통한 명확한 책임 분담

  • 이혼 전후 채무에 대한 책임 비율을 협의이혼서나 조정서에 반드시 명시해야 분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2. 가압류·가처분으로 보호 조치

  • 한쪽이 파산하거나 채무가 과다해질 경우,
    가압류·가처분을 통해 공동 채무자로서의 배우자의 재산을 보호하고 권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민사 소송 및 손해배상 청구

  • 채무 분담에 이견이 있다면, 법원에 채무 분할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4. 고의적 채무면탈은 형사처벌 대상

  • 배우자가 고의로 채무를 숨기거나 재산을 빼돌린 경우,
    사기죄(형법 제347조) 또는 강제집행면탈죄(형법 제327조) 등으로 형사고소가 가능합니다.


Previous
Previous

황혼이혼 시 연금 분할 요건과 절차

Next
Next

이혼 중 배우자 재산 은닉하면 처벌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