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리뷰 허위 사실로 인한 명예훼손

온라인 쇼핑이나 음식점, 서비스 이용 후 소비자들이 블로그나 SNS에 리뷰를 남기는 건 이제 일상적인 일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리뷰 내용 중 사실이 아닌 내용이 포함돼 업체나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이는 단순한 ‘의견 표현’을 넘어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로그에 허위 사실을 포함한 리뷰를 작성했을 때 어떤 법적 책임이 따르는지, 그리고 피해자는 어떤 대응이 가능한지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허위 사실이 포함된 리뷰, 왜 문제일까요?

블로그 리뷰는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지만,
이 과정에서 사실과 다른 내용을 적거나 과장된 내용을 쓰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가 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법적 처벌 가능성이 높습니다.

  • 리뷰 내용이 허위 사실을 포함하고 있고

  • 특정 업체 또는 개인이 지목되어 신뢰를 잃거나 피해를 입었으며

  • 공공연하게 게시되어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형태일 때



| 명예훼손 관련 법적 근거

1.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

  • 공연히 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허위 사실을 적시한 경우
    →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2.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 명예훼손죄)

  • 인터넷, 블로그 등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실 또는 허위 사실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 사실: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허위: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이처럼 온라인 상의 허위 리뷰는 오히려 일반 명예훼손보다 더 강한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이런 리뷰는 법적으로 문제됩니다

1.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을 사실처럼 쓴 리뷰

예: “식재료에서 벌레가 나왔다”는 허위 사실을 적어 업체 평판에 타격을 입힌 경우

2. 업체의 고의적 부정행위가 있는 것처럼 과장

예: “고의로 상한 음식을 팔았다”, “일부러 고객을 차별했다” 등
사실 확인 없이 단정적으로 표현할 경우,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경쟁 업체의 요청 등으로 ‘조작된 후기’를 작성한 경우

업무방해죄 또는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형사고소 및 손해배상 청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

1. 증거 확보가 최우선입니다

  • 문제되는 블로그 글의 캡처, URL 저장, 작성 시점, 작성자 정보 등

  • 작성자가 명확하지 않더라도, 포털사이트에 정보통신망법에 따른 게시글 삭제 요청 가능

2. 포털 또는 플랫폼에 명예훼손 게시물 삭제 요청

  • 명예훼손 신고 및 임시 조치 요청 가능

  • 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등은 자체적으로 명예훼손 판단 기준 운영

3. 법적 조치 (형사 고소 또는 민사 소송)

  • 형사 고소: 명예훼손죄, 사이버 명예훼손죄

  • 민사 소송: 허위 사실로 인한 정신적·금전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 실제로 허위 리뷰로 인해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배상 판결이 나온 사례도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이런 상황에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 블로그에 허위 또는 과장된 부정적 후기를 남겨 명예에 손상을 입힌 경우

  • 사실이 아님에도 고의적으로 신뢰를 떨어뜨리는 내용을 게시한 경우

  • 경쟁업체가 허위 리뷰 작성을 지시했거나 금전 거래가 있었던 경우

이런 경우 명예훼손죄, 사이버 명예훼손죄, 업무방해죄 등으로 고소 가능하며,
손해배상청구도 함께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evious
Previous

전동 킥보드 사고 시 피해자와 가해자 책임

Next
Next

카페에서 콘센트 사용 제한이 법적으로 가능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