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계약 후 계약금 환불 거부 시 대응
부동산 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금을 주고받는 일은 매우 일반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계약 체결 이후 계약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거나, 일방적인 사정으로 계약을 해제해야 할 상황이 생기기도 하죠. 이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분쟁 중 하나가 바로 ‘계약금 환불’ 문제입니다.
특히 매수자나 세입자 입장에서는 계약을 해지하고 싶어도, 집주인이나 공인중개사가 계약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난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집 계약 후 계약금 환불을 거부당했을 때 법적으로 어떤 대응이 가능한지, 관련 법률과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집 계약 후 계약금 환불, 언제 가능할까요?
1. 계약금을 주고 계약서를 썼다면? → 민법상 계약금 해제 규정 적용
우리 민법 제565조에 따르면, 계약금이 오간 계약의 경우 다음과 같은 해제가 가능합니다.
매수인(구매자)이 계약 해제를 원할 경우 → 계약금을 포기하면 해제 가능
매도인(판매자)이 계약 해제를 원할 경우 → 계약금의 2배를 반환하면 해제 가능
즉, 당사자 간 합의 없이 계약금을 돌려받으려면 법적 요건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2. 해제 사유가 ‘상대방의 귀책사유’일 경우에는 전액 환불 가능
계약 후 다음과 같은 사유로 거래가 무산된 경우라면 계약금 전액 환불은 물론, 손해배상까지 가능할 수 있습니다.
매도인이 계약된 날짜에 등기나 인도 의무를 불이행한 경우
임대인이 계약된 조건과 다른 내용의 집을 제공한 경우
중개인이 중대한 사실을 고지하지 않아 계약이 성립된 경우
이처럼 상대방의 계약 위반이 원인이라면, 계약 해제를 통보한 뒤 계약금 환불을 요구할 수 있고, 거부 시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 계약금 환불 거부 시 대응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1. 내용증명 발송 (계약 해제 통보 및 환불 요구)
계약을 해제하려는 의사를 명확히 밝히고,
상대방이 계약금을 반환해야 할 법적 근거와 함께 내용증명을 발송합니다.
이후 소송에 대비하기 위해 발송일, 수령일 등도 기록으로 보관해야 합니다.
2. 민사소송 (계약금 반환 청구 소송)
상대방이 환불을 거부하거나, 연락이 되지 않는다면
민사소송을 통해 계약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관할은 일반적으로 계약한 부동산이 소재한 지역의 법원입니다.
3. 지급명령 신청 (간단한 절차)
분쟁이 비교적 단순하고 금액이 크지 않다면
지급명령 제도를 활용하여 빠르게 판결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계약금 환불 거부가 불법일 수 있는 경우와 고소 가능성
1. 사기죄 (형법 제347조)
처음부터 계약 이행 의사가 없으면서 계약금을 받은 경우,
혹은 거짓 정보로 계약을 유도한 경우에는
사기죄로 형사 고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 예: 이미 팔린 집을 속이고 계약을 유도한 경우
2. 업무상 배임죄
중개인이 계약 과정에서 고의적으로 사실을 숨기거나,
특정 당사자의 이익을 위해 계약금을 유도한 경우
→ 업무상 배임 혐의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형사 고소 외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계약금 반환 거부로 인해 금전적 손해 외에도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면
위자료 및 추가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