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나 블로그 영상 도용 시 저작권 침해 대응
콘텐츠 창작자가 가장 마음 아파하는 상황 중 하나는 자신의 영상이나 블로그 콘텐츠가 허락 없이 복제되거나 도용되는 일입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 법적 근거, 실제 대응 절차, 그리고 민·형사 대응까지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저작권 침해란 무엇인지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저작권법상 보호 대상: 영상, 사진, 블로그 글, 스크립트, 음악 등 창작성 있는 콘텐츠는 모두 보호받습니다.
한국 저작권법상 등록 없이도 저작권은 자동 발생하므로, 창작물은 공표 즉시 권리를 가집니다.
| 영상 도용 시 어떤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1. 형사 처벌 규정 (저작권법 제136조)
허락 없이 복제·전송·게시한 경우: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특히 영리 목적이거나 상습적·조직적인 경우 형량이나 벌금이 더욱 가중됨
2. 민사 손해배상 청구
저작권 침해로 인해 창작자가 입은 정신적·경제적 피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원본 콘텐츠, 침해 콘텐츠 URL, 시청 수·광고 수익 손실 자료 준비 권장
| 도용 발견 후, 단계별 대응법
1. 증거 자료 확보
캡처+영상 URL, 게시일, 침해 사실 기록
원본 콘텐츠 생성 일자와 비교 가능한 자료 함께 확보
2. 플랫폼 신고
유튜브: 저작권 침해 신고 페이지에서 요청
블로그/SNS: 네이버, 다음 등 플랫폼 저작권 센터 통해 삭제 요청
3. 정식 경고 및 내용증명 발송
침해자에게 삭제 및 손해배상 요구 내용증명 발송
4. 형사 고소 및 민사 소송 준비
형사 고소: 경찰·검찰에 신고 → 수사 및 기소 가능
민사 소송: 손해배상 청구 및 가처분 신청으로 침해 콘텐츠 중단 요청
| 성공적 대응을 위한 팁
플랫폼 제재뿐만 아니라, 법적 대응까지 준비하는 것이 실효성 있는 대응법입니다.
특히 유튜브 콘텐츠 ID 시스템을 활용하면, 침해 영상을 자동 모니터링하고 수익 전환/삭제 요청이 가능해요
영리 목적으로 도용했다면, 형사처벌 확률도 높아집니다.
| 관련 상황에서 가능한 법적 대응과 고소 가능성
형사 고소: 저작권법 위반으로 징역 또는 벌금형 신청 가능
민사 손해배상: 창작물의 잦은 침해로 인한 정신적 피해 및 수익 손실 보상 청구 가능
가처분 신청: 침해 콘텐츠의 즉시 삭제와 사용 중단 조치를 법적으로 요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