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 아이템 환불 거절 시 대응법

요즘 스마트폰으로 게임 즐기시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모바일 게임에서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는 일이 일상처럼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실수로 결제를 했거나, 아이템이 설명과 다르거나, 시스템 오류가 발생했을 때 환불을 요청해도 게임사 측에서 이를 거절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아이템을 잘못 샀는데 환불이 안 된다”, “결제를 취소하고 싶은데 게임사는 안 된다고 한다”는 문의는 실제로 소비자 상담센터에도 자주 들어오는 문제 중 하나예요.
이 글에서는 모바일 게임 아이템 환불이 거절됐을 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관련 법률은 무엇이며 현실적으로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모바일 게임 아이템, 환불이 원칙적으로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무조건 환불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소비자는 환불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게임 내에서 사용한 아이템이라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상황이라면 환불 요구가 정당하게 인정될 수 있어요.


| 어떤 경우에 환불 요청이 가능할까요?

1. 아이템을 구매하고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아직 사용하지 않은 유료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청약철회가 가능하며, 구매 후 7일 이내라면 게임사 측에서 환불을 해줘야 할 의무가 생깁니다.

  • 관련 법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17조

  • 단, “즉시 사용되는 아이템”이거나 “소비자가 동의한 경우”라면 예외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오류나 결제 문제로 인한 피해

  • 아이템이 지급되지 않았거나

  • 결제가 중복으로 이루어졌거나

  • 구매한 아이템의 성능이 설명과 다른 경우

이럴 경우에는 불완전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환불 요청이 가능하며, 이는 명백한 계약 위반 또는 부당한 이득 반환 사유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3. 미성년자 결제

  • 부모 동의 없이 미성년자가 결제를 진행한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이 이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법률: 민법 제5조(미성년자의 법률행위)

  • 단, 게임사가 미성년자가 성인인 것처럼 속였다는 점을 입증하면 환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게임사가 환불을 거부한다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1. 우선 게임사 고객센터 또는 플랫폼(구글, 애플 등)에 이의 제기

  • 가장 먼저는 게임 내 고객센터 또는 해당 스토어에 문의를 해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에서는 자체적으로 일정 조건 내에서 환불을 진행해주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2. 한국소비자원 또는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에 신고

  • 정당한 환불 요청이 거절되면, 한국소비자원 또는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특히 디지털 콘텐츠 분쟁은 콘텐츠분쟁조정위에서 신속하게 다뤄주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3. 민사소송 제기

  • 피해 금액이 크거나, 반복적으로 환불을 거부당한 경우에는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 청구 또는 부당이득 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단, 실제로 법적 절차에 들어가기 전에는 증거 수집이 중요합니다. (결제 내역, 아이템 사용 여부, 게임 내 공지사항, 고객센터 답변 등)


| 관련 법률은 어떤 게 있나요?

모바일 게임 아이템 환불 문제와 관련된 주요 법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 제17조: 청약철회 및 그 제한

    • 제21조: 소비자 피해에 대한 배상책임

  • 콘텐츠산업 진흥법

    • 제25조: 콘텐츠 이용자의 권리 보장

    • 제30조: 콘텐츠 분쟁조정위원회 설치 및 기능

  • 민법

    • 제741조: 부당이득 반환 청구

    • 제5조: 미성년자의 법률행위 취소

이 외에도 특정 플랫폼 약관(구글, 애플) 및 게임사 자체 약관이 환불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구매 당시 약관 확인도 중요합니다.


| 관련 상황에 놓였을 때 어떤 법적 대응과 고소가 가능할까요?

만약 게임사 측에서 고의적으로 환불을 회피하거나, 허위·과장된 광고로 유도해 구매를 유도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법적 대응도 가능합니다.

1. 형사 고소 가능성

  • 사기죄(형법 제347조): 거짓 정보를 통해 구매를 유도한 경우

  •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위반: 허위, 과장 광고

  •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결제 시스템 오류를 방치한 경우

2.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환불 거부로 인한 금전적 손실 및 정신적 피해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 반복적인 피해가 입증될 경우에는 집단소송 형태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행정기관 신고

  • 공정거래위원회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 가능

  •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 신청으로 피해 구제 가능

Previous
Previous

유료 온라인 클래스 환불 거절 사례

Next
Next

택시 승차 거부 시 법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