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상품 환불 거부 사례와 민사적 대응

여행을 기대하며 예약했는데, 갑자기 여행사가 환불을 거부하면 정말 속상하고 억울하시죠.
그렇지만 소비자는 정당하게 계약 해지 및 환불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환불 불가 사례, 관련 법률 근거, 민사적 대응 절차, 그리고 형사 대응 가능성까지 쉽고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환불 거부 사례는 왜 발생하나요?

  • 글로벌 숙박 예약 플랫폼에서 국내법 기준보다 엄격하게 ‘환불 불가’ 약관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소비자원 조사에서 전날 취소해도 환불 거부 사례가 많았고, 상담 건수의 약 63%가 환불 관련이었습니다.

  • 소비자에게 환불 조건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중요 정보 고지 미비로 환불 조건을 인지하지 못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요.


| 어떤 경우에 환불이 가능할까요?

1. 7일 이내 청약 철회 가능

  •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예약 후 7일 이내에는 이용 여부와 상관 없이 전액 환불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2. 사기적 광고·약관 미 표시 시

  • 사업자가 환불 불가 약관을 명확히 안내하지 않았다면,
    해당 약관이나 광고 자체가 '불공정 약관'으로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3. 여행사 측 계약 불이행 시

  • 항공·숙박·교통편 등이 사업자 사정으로 중단되거나 변경되면,
    이는 계약 위반으로 간주되어 전액 환불이 가능하고, 지연이자까지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민사적 대응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 증거 확보부터 시작하세요

  • 예약 확인서, 약관 PDF, 홈페이지 광고 내용 캡처

  • 결제 영수증, 통화·채팅 기록 등을 모두 보관하세요.

2. 내용증명 발송 및 협의 시도

  • 내용증명을 통해 환불 요청과 사유, 지급 요구 시한을 명시하세요.

  • 사업자에게 조정이나 대체 방안을 먼저 제시해 합의를 우선 시도합니다.

3.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 신청

  • 분쟁조정위원회가 찾아주며, 조정 결정은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 글로벌 업체도 국내 소비자보호법 적용 대상이라고 인정되는 추세입니다.

4. 민사소송 제기

  • 조정 실패 시 소액사건 또는 일반 민사소송을 통해

    • 예약금 전액 환불

    • 지연이자

    • 법정 비용
      등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형사적 대응 가능성도 있습니다

  • 사기죄(형법 제347조): 처음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의사가 없었거나 허위 광고로 결제를 유도한 경우

  • 업무방해죄(형법 제314조): 집단 피해가 발생하고 사업방식 자체가 문제인 경우

  • 약관법·전자상거래법 위반: 불공정 약관·광고 위반 시 과태료 및 처벌 대상이 됩니다.

Previous
Previous

길에서 주운 물건, 가져가도 될까?

Next
Next

온라인 수강권 구매 후 서비스 중단, 환불 청구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