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허위 사실 유포된 경우 대응 절차

온라인 공간은 자유로운 의견 교환의 장이지만, 그만큼 허위 사실이 빠르게 퍼져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위험도 있습니다. 기업을 운영하거나 개인으로 살아가면서 온라인에 허위 정보가 퍼진다면, 명예와 신뢰를 지키기 위해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하죠.


이 글에서는 온라인 허위 사실 유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법적으로 어떤 절차를 밟으며 고소하고 배상받을 수 있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온라인 허위 사실 유포는 어떤 법에 걸릴까요?

  1.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罪 / 사실 적시 또는 허위사실 유포

    • 상대방의 명예를 훼손할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퍼뜨린 경우

    • 처벌: 허위일 경우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 벌금, 사실이라도 명예 훼손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

  2.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온라인 명예훼손

    • SNS, 카페, 블로그 등에서 온라인에 게시한 경우

    • 처벌: 허위사실 유포 시 최대 7년 이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 벌금, 사실 유포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



| 대응 절차는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1. 증거 확보는 필수입니다

  • 게시물, 댓글, 캡처 화면, URL, 작성자 프로필 또는 익명 ID 등

  • 게시 시점(날짜·시간), 전파된 범위도 함께 기록하세요

2. 플랫폼에 게시물 삭제 요청 접수

  • 해당 서비스(SNS, 블로그, 커뮤니티)에 신고 기능 이용

  • 허위사실임을 밝혀내고 게시물 삭제를 요구하세요

3. 국가기관 신고: 사이버 수사대 활용

  • 증거 자료를 확보한 뒤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 또는 112 긴급 신고

  • “허위사실 유포(명예훼손)”로 신고하면 경찰이 본격 수사에 착수합니다

4. 형사 고소장 제출 및 수사·기소

  • 경찰 또는 검찰에 형법·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고소장 제출

  • 고소는 친고죄(6개월 이내)에 해당하며, 정식 수사·기소가 가능합니다

5.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 정신적 고통에 대해 위자료 청구

  • 명예 훼손으로 인한 경력·신뢰 하락 피해 배상을 민사법원에 청구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실제 사례와 처벌 수준은 어떨까요?

  • 연예인 보아 측은 온라인 허위·악성 게시물에 대해 민·형사 고소를 진행 중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 이준호 악플러는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300만 원 벌금형을 선고받은 바 있습니다



| 어떤 죄로 대응할 수 있나요?

  • 도덕적·법적 책임:

    • 허위사실 ↔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

    • 온라인 게시물 ↔ 정보통신망법 제70조

  • 추가 혐의 가능성:

    • 협박성 문자·댓글 ↔ 형법 협박죄(제283조)

    • 허위 사실로 사업·영업 방해 ↔ 업무방해죄(제314조)

형사 고소와 함께 민사상 손해배상도 가능하며,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진행하면 효과적인 권리 보호가 가능합니다.

Previous
Previous

인터넷 댓글로 인한 고소, 처벌 수위는?

Next
Next

휴대폰 수리 후 기능 저하, A/S 업체 상대로 배상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