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 중 부당 해고? 꼭 알아야 할 대응법

요즘 많은 분들이 학생이든 성인이든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거나 부수입을 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열심히 일하다가 갑자기 아무 이유 없이 해고를 당하면 정말 당황스럽고 억울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고민되실 텐데요, 이 글에서는 아르바이트생이 부당하게 해고당했을 때 취할 수 있는 법적 대응 방법과 관련 법률에 대해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온라인 커뮤니티


| 부당 해고도 정당한 사유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아르바이트도 ‘근로자’에 해당하므로,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즉, 사업주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반드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

정당한 이유 없이 "그냥 안 나와도 돼요", "당신은 그만두세요"라는 식의 통보는 부당 해고에 해당합니다.


| 부당 해고 시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해고예고 없이 해고했다면 위법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할 때 30일 전에 예고해야 합니다.
    예고 없이 해고했을 경우,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2. 정당한 이유가 없거나, 해고 과정이 부당하다면 ‘부당해고’입니다
    해고 사유가 막연하거나, 감정적인 이유로 이루어졌다면 이는 부당합니다.
    예: 갑작스러운 감원, 사소한 실수, 사장의 기분, 손님의 불만 등


| 부당 해고 시 꼭 이렇게 대처하세요

1. 해고 통보 증거를 확보하세요

문자, 카카오톡, 녹취 등 해고 의사를 전달받은 모든 자료를 보관하세요.
이게 있어야 노동청에 진정하거나 법적 절차를 밟을 수 있습니다.

2. 근로계약서와 출근기록을 챙기세요

급여명세서, 출퇴근기록, 단톡방 대화, CCTV, 타임카드 등 근로관계 입증자료를 확보해야 합니다.

3. 고용노동부에 진정 넣기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단된다면,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진정서를 제출하세요.

  • 진정은 무료이며, 조사 후 사업주에게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4.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

정식 계약을 하고 3개월 이상 일한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도 가능합니다.
단,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노동위원회는 복직 명령 또는 임금 지급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사업주는 어떤 책임을 지게 될까요?

근로기준법 위반 시 사업주는 형사처벌 또는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형사 고소도 가능합니다.

  • 해고예고 수당 미지급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근로기준법 제114조)

  • 부당한 해고가 반복되거나 악의적인 경우 → 손해배상 청구 또는 형사고소 대상 가능

또한 해고 후에도 임금을 미지급했다면, 이는 임금체불죄로 형사 고발이 가능합니다.

Previous
Previous

명예훼손 vs 모욕죄, 헷갈리는 차이와 신고 요령

Next
Next

길거리에서 몰래카메라? 신고부터 처벌까지 법으로 지키는 내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