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 시술 실패 후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

헤어 스타일을 바꾸기 위해 큰마음을 먹고 미용실을 찾았는데, 원했던 결과와 너무 다르거나 심지어 머릿결이 심하게 손상됐다면 정말 속상하죠. 특히 염색, 탈색, 펌 등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시술에서 문제가 생기면 외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그 피해가 작지 않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 미용실에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미용실 시술 실패로 인한 손해배상 가능성, 관련 법률, 법적 대응 방법까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미용실 시술 실패, 손해배상 받을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일정한 요건이 충족된다면 미용실 측에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는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렵습니다. 법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미용사 측의 과실이 인정되는 경우

민법 제750조에 따르면,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로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 시술 전 충분한 설명 없이 고강도 탈색제를 사용했다거나

  • 두피 상태를 무시한 채 강한 화학약품을 사용해 화상을 입혔다면

이런 경우는 미용사의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요청과 전혀 다른 시술을 한 경우도 과실로 볼 수 있습니다.
예: “차분한 브라운 컬러”를 요청했는데, 밝은 금발로 염색한 경우

2. 피해가 실제로 발생했을 경우

시술 실패로 인해 외모 손상, 두피 트러블, 화상, 머리카락 손상, 사회생활에 영향 등이 실제로 발생했다면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봅니다.

단순히 “마음에 안 들어요” 정도는 배상 대상이 아니지만,

  • 머리카락이 타거나 녹아 끊어진 경우

  • 두피가 부풀거나 화상을 입은 경우

  • 중요한 면접이나 행사에 외모로 인해 손해를 봤다면

이런 경우는 재산적·비재산적 손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피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가 있어야 함

법적 배상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있어야 합니다.

가능한 증거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술 전후 사진 비교

  • 시술 과정에서의 녹음이나 문자 대화 내용

  • 병원 진료기록(두피 화상, 트러블 등)

  • 미용사와의 시술 내용 사전 합의 증거

이런 자료가 없으면 ‘시술 실패’라는 주장을 입증하기 어려워집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 소비자 보호법상 미용실 이용자의 권리는 무엇인가요?

소비자기본법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미용 서비스도 분쟁 해결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소비자 거래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미용 서비스에 대한 분쟁 해결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 머리카락 손상 또는 화상 등 물리적 피해 → 치료비, 손해액 등 배상

  • 요청과 다른 결과가 나온 경우 → 재시술, 환불, 일부 금액 환급 등

따라서 피해가 명확하고 입증 가능하다면, 정당한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법적 대응 및 고소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

실제로 시술 실패로 인한 손해가 크고, 미용사의 과실이 명확하다면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형사 고소도 가능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1.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에 따라, 피해자가 입은 손해에 대해 위자료, 치료비, 수리비(가발 착용 등) 등의 청구가 가능합니다.

  • 시술로 인해 두피 화상 → 병원비 +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 사회생활 영향 → 그에 따른 손해액 청구

2. 형사 고소 가능성

일반적인 시술 실패는 민사로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형사 고소가 가능할 여지가 있습니다.

  • 고의로 유해 화학약품을 잘못 사용한 경우 → 상해죄 (형법 제257조)

  • 시술 중 고의적인 모욕이나 폭언이 있었던 경우 → 모욕죄

  • 명백한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시술을 강행했다면 → 업무상 과실치상죄

형사 고소는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해 진행되며, 피해 사실과 고의성,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이 필요합니다.

Previous
Previous

식당에서 미성년자에게 주류 제공 시 처벌

Next
Next

PC방 컴퓨터 고장으로 발생한 손해배상 가능 여부